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646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8.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감기가 심하게  들면 고통스럽지요. 저는 늘 감기 때문에 고생을 한답니다. 감기하고  같이 살지요.  그래서 제 처가 걱정을 태산같이 합니다. 제  처는 농담으로, 저에게 이혼당할까 전전긍긍 한다고  합니다. 제가 감기하고  혼인을 할까 보아서 하는 소리입니다. 감기가 혼인식은 안 했지만, 꼭  저하고 동거하고 있으니까요.  그것도 잠시도 저하고 떨어지려고 하지 않으니까 하는  농담입니다. 금년에는 꼭 감기하고 별거를 해야 하겠습니다. 

  객적은 소리 그만하고 이제 '기침'에 대해서 이야기하지요. '기침'은 옛말 '깃다'(치읓 받침 이하  아래의 모든 것에 해당)(이런 글자도 나오지 않는 완성형 한글 코드는 통신상에서 언제 없어지나?)에서 나온 말입니다.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 이 '깃다'란 단어는 '기침하다' 란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깃다'는 동적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이지요. 즉 '울음을  울다, 잠을자다, 꿈을  꾸다  '처럼 '기침을 깃다'로 사용되던 것이었지요. 물론 '울음을 울다,  꿈을 꾸다, 잠을 자다'에서 '울음, 꿈,  잠' 없이 '울다, 꾸다, 자다'   등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깃다'도  목적어 없이 사용되기도 하였습니다.

  '기침'은 '깃다'의 어간  '깃-'에 명사형 접미사 '-으' 나 '-아'(아래 아)가 붙어서 '기츰'이나    '기참'('참'자는 아래 아자)으로 사용되다가,  그 음이 변화하여 '기침'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기츰을 깃다'로 사용되다가 17세기에서부터 '기츰하다' 등으로 사용되어 오늘날과 같이  '기침하다'나  '기침을  하다' 등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셈이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양말'의 ‘말’은 한자의 '버선 말'자...여기에 '서양 양'이 붙은 것입니다. 風磬 2006.12.11 4187
170 모주 바람의종 2008.05.03 4175
169 '멀국/말국'은 전라도 방언...'국물'이 표준어 風磬 2006.11.06 4172
168 '곰보'는 '곪다'의 '곪-'에 접미사 '-보'가 붙어서 된 말 風磬 2007.01.14 4171
167 고유어 인명 - 돌쇠면 어떻고 개똥이면 어떤가 바람의종 2008.07.19 4162
166 '감기'는 옛날에 '고뿔'이라고 불렀습니다. 곧 '코에 불(열)이 난다는 뜻 風磬 2006.12.14 4160
165 "똥뀐 녀석이 성낸다"는 말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 風磬 2006.11.17 4148
164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바람의종 2007.01.25 4148
163 22. '온갖'은 '수적으로 전부의 종류'란 뜻 風磬 2006.10.11 4133
162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바람의종 2008.05.03 4128
161 '가게'는 널판지로 만든 시렁에 물건을 진열하여 놓고 파는 곳 風磬 2006.12.18 4119
160 우리말의 상상력 2 - 1. 한강의 뿌리, 우통수(于筒水) 바람의종 2009.07.15 4117
159 '딴따라패'는 영어 'tantara'의 음을 빌려 온 것 風磬 2006.12.06 4108
158 '박쥐'의 '박'은 '눈이 밝다'의 '밝-' 風磬 2006.12.09 4103
157 주술적 용어 1 - 끼, 그 가능성의 유전자 바람의종 2008.04.09 4103
156 '마요네즈'는 스페인 항구도시 '마욘'의 특산품 風磬 2006.12.25 4102
155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2/2) 바람의종 2009.06.29 4086
154 '곰'과 '팡이'의 어원을 아셔요? 風磬 2006.10.21 4079
153 우리말의 속살 - 유아의 언어 습득 말문은 저절로 트인다 바람의종 2008.03.18 4060
152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바람의종 2008.06.24 4029
151 '다니다'는 원래 '달려 간다'는 뜻 風磬 2006.11.16 4025
150 우리말 사랑 4 - 신토불이와 토사구팽 바람의종 2008.04.29 4016
149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2/3) 바람의종 2009.07.07 4011
148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바람의종 2008.09.26 4010
147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바람의종 2008.08.19 39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