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650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8.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감기가 심하게  들면 고통스럽지요. 저는 늘 감기 때문에 고생을 한답니다. 감기하고  같이 살지요.  그래서 제 처가 걱정을 태산같이 합니다. 제  처는 농담으로, 저에게 이혼당할까 전전긍긍 한다고  합니다. 제가 감기하고  혼인을 할까 보아서 하는 소리입니다. 감기가 혼인식은 안 했지만, 꼭  저하고 동거하고 있으니까요.  그것도 잠시도 저하고 떨어지려고 하지 않으니까 하는  농담입니다. 금년에는 꼭 감기하고 별거를 해야 하겠습니다. 

  객적은 소리 그만하고 이제 '기침'에 대해서 이야기하지요. '기침'은 옛말 '깃다'(치읓 받침 이하  아래의 모든 것에 해당)(이런 글자도 나오지 않는 완성형 한글 코드는 통신상에서 언제 없어지나?)에서 나온 말입니다.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 이 '깃다'란 단어는 '기침하다' 란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깃다'는 동적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이지요. 즉 '울음을  울다, 잠을자다, 꿈을  꾸다  '처럼 '기침을 깃다'로 사용되던 것이었지요. 물론 '울음을 울다,  꿈을 꾸다, 잠을 자다'에서 '울음, 꿈,  잠' 없이 '울다, 꾸다, 자다'   등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깃다'도  목적어 없이 사용되기도 하였습니다.

  '기침'은 '깃다'의 어간  '깃-'에 명사형 접미사 '-으' 나 '-아'(아래 아)가 붙어서 '기츰'이나    '기참'('참'자는 아래 아자)으로 사용되다가,  그 음이 변화하여 '기침'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기츰을 깃다'로 사용되다가 17세기에서부터 '기츰하다' 등으로 사용되어 오늘날과 같이  '기침하다'나  '기침을  하다' 등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셈이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언어코드로 보는 '돼지'의 다양한 의미 風磬 2007.01.03 3467
120 엄마, 아빠에서 "어이 어이"까지 바람의종 2008.03.19 4605
119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바람의종 2008.03.27 3722
118 여성의 이름 - 언년이, 영자, 정숙, 한송이 바람의종 2008.07.21 3556
117 영암과 월출산 - 달래골에서 만나는 두 성인 바람의종 2008.09.19 3899
116 영일과 호미동 - 호랑이꼬리에서의 해맞이 바람의종 2008.09.07 3434
115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바람의종 2008.04.26 3768
114 우리말 사랑 2 - 부끄러움이 자랑스러움으로 바람의종 2008.04.27 3691
113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바람의종 2008.04.28 3740
112 우리말 사랑 4 - 신토불이와 토사구팽 바람의종 2008.04.29 4018
111 우리말 숫자관 - 닫히고 열리기가 골백번 바람의종 2008.04.01 3295
110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1/2) 바람의종 2009.04.14 3098
109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2/2) 바람의종 2009.05.01 3483
108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1/2) 바람의종 2009.06.17 3304
107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2/2) 바람의종 2009.06.29 4094
106 우리말의 상상력 1 - 11. 고움과 원형(圓形) 바람의종 2009.06.30 4600
105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1/3) 바람의종 2009.07.06 3624
104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2/3) 바람의종 2009.07.07 4011
103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3/3) 바람의종 2009.07.08 3823
102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바람의종 2009.05.02 3154
101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2/4) 바람의종 2009.05.04 3549
100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3/4) 바람의종 2009.05.09 3145
99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4/4) 바람의종 2009.05.09 3392
98 우리말의 상상력 1 - 3. 3-1. 싹과 사이 (1/2) 바람의종 2009.05.12 3392
97 우리말의 상상력 1 - 3. 풀과 목숨 (2/2) 바람의종 2009.05.15 37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