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025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7. '곧다'와 '굳다'에서 나온 '꼿꼿하다'와 '꿋꿋하다'

  오늘날 '꼿꼿하다'란,
 1. '단단하고 길쭉한 것이 굽은 데가 없이 쪽 바르다'
 2. '배반하거나 뜻을 포기하는 일이 없이 굳세다'란 뜻이지요. 원래 1 의  뜻이었다가, 2 의 뜻으로 전의된 것입니다. 그렇지만 오늘날에는 2 의 뜻으로 더 많이 쓰입니다.  '꼿꼿하기는 개구리 삼킨 뱀'(고집이 센 사람을 일컫는 말), '꼿꼿하기는 서서 똥 누겠다'(고집이 세어서  남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 등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꼿꼿하다'는 옛말에서는'곧곧하다'로 사용되었습니다. '곧곧하다'는 '다리가 곧곧하다',  '목이 곧곧하다' 처럼 앞의 1 의 뜻으로 사용되었지요.   '곧곧하다'는 '곧다'의 어간인 '곧-'이 겹친 첩어이지요. 즉 '곧고 곧다'는 뜻입니다. 그렇지만 이 말은 '곧하다'에서 온 말이 아니라 '곧다'에서 온 말입니다.곧하다'란 단어는 쓰이지 않았었습니다. 대개 첩어가 되면 대개 첩어의 어간에 '하다'를 붙여서 사용하니까요.

  그런데 '꼿꼿하다'와 유사한 말로 '꿋꿋하다'가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까? 그러면 '꿋꿋하다'의 어원은 쉽게 이해하실 것입니다. 물론 '굳굳하다'에서 온 말이고, 이것은 '굳다'에서 온 단어입니다.  '곧다'와 '굳다'는 그 뜻이 전혀 다른  말인데,  여기에서 나온 두 단어인 '꼿꼿하다'와  '꿋꿋하다'가 마치 동일한 단어에서 모음만 바꾼 단어인 것처럼 생각되지 않습니까? 이것은 '꼿꼿하다'가  앞에서 든 1 의  뜻으로 사용되면서부터 이루어진 결과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 '새'는 '동쪽'의 의미...'샛별'은 동쪽에 제일 먼저 뜨는 별 風磬 2006.11.11 4674
45 '학독'이란 단어의 뜻을 아십니까? 風磬 2006.11.10 4658
44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風磬 2006.11.09 4036
43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風磬 2006.11.08 4064
42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風磬 2006.11.07 4819
41 '멀국/말국'은 전라도 방언...'국물'이 표준어 風磬 2006.11.06 4282
40 '베개'를 전북지방에서는 '비개' '벼개'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11.05 4395
39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風磬 2006.11.04 3988
38 "영낙없이 지 애비 탁했네" -> "영낙없이 지 애비 닮았네" 風磬 2006.11.03 4681
37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風磬 2006.11.02 4093
36 '찌개'는 '디히개 > 디이개> 지이개 > 지개 > 찌개'로 변화한 말 風磬 2006.11.01 3995
35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風磬 2006.10.31 4905
34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風磬 2006.10.30 3861
33 '지붕'은 '집'의 '위'란 뜻 風磬 2006.10.28 4676
32 생식기 근처에 난 털을 뭐라고 하는지 아셔요? 風磬 2006.10.27 4468
31 '아깝다'와 '아끼다'는 연관된 단어 風磬 2006.10.26 4528
30 "구실을 삼다"와 "사람 구실을 못한다"에서 風磬 2006.10.25 4798
29 '값이 싸다'는 원래 '값이 적당하다'는 뜻 風磬 2006.10.24 4026
28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風磬 2006.10.23 4802
» '곧다'와 '굳다'에서 나온 '꼿꼿하다'와 '꿋꿋하다' 風磬 2006.10.22 5025
26 '곰'과 '팡이'의 어원을 아셔요? 風磬 2006.10.21 4263
25 '곡식 한 말을 수확할 수 있는 땅' --> '한 마지기' 風磬 2006.10.20 4129
24 '눈꼽'의 '꼽'은 원래 '곱'...'곱'은 '기름'이란 뜻 風磬 2006.10.19 3706
23 23.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風磬 2006.10.18 3977
22 22. '온갖'은 '수적으로 전부의 종류'란 뜻 風磬 2006.10.11 43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