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020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7. '곧다'와 '굳다'에서 나온 '꼿꼿하다'와 '꿋꿋하다'

  오늘날 '꼿꼿하다'란,
 1. '단단하고 길쭉한 것이 굽은 데가 없이 쪽 바르다'
 2. '배반하거나 뜻을 포기하는 일이 없이 굳세다'란 뜻이지요. 원래 1 의  뜻이었다가, 2 의 뜻으로 전의된 것입니다. 그렇지만 오늘날에는 2 의 뜻으로 더 많이 쓰입니다.  '꼿꼿하기는 개구리 삼킨 뱀'(고집이 센 사람을 일컫는 말), '꼿꼿하기는 서서 똥 누겠다'(고집이 세어서  남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 등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꼿꼿하다'는 옛말에서는'곧곧하다'로 사용되었습니다. '곧곧하다'는 '다리가 곧곧하다',  '목이 곧곧하다' 처럼 앞의 1 의 뜻으로 사용되었지요.   '곧곧하다'는 '곧다'의 어간인 '곧-'이 겹친 첩어이지요. 즉 '곧고 곧다'는 뜻입니다. 그렇지만 이 말은 '곧하다'에서 온 말이 아니라 '곧다'에서 온 말입니다.곧하다'란 단어는 쓰이지 않았었습니다. 대개 첩어가 되면 대개 첩어의 어간에 '하다'를 붙여서 사용하니까요.

  그런데 '꼿꼿하다'와 유사한 말로 '꿋꿋하다'가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까? 그러면 '꿋꿋하다'의 어원은 쉽게 이해하실 것입니다. 물론 '굳굳하다'에서 온 말이고, 이것은 '굳다'에서 온 단어입니다.  '곧다'와 '굳다'는 그 뜻이 전혀 다른  말인데,  여기에서 나온 두 단어인 '꼿꼿하다'와  '꿋꿋하다'가 마치 동일한 단어에서 모음만 바꾼 단어인 것처럼 생각되지 않습니까? 이것은 '꼿꼿하다'가  앞에서 든 1 의  뜻으로 사용되면서부터 이루어진 결과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 21. '꽁치'의 어원에 관한 유력한 설이 있습니다 風磬 2006.10.10 4966
20 20. '만나다'는 '맞나다'에서 온말 風磬 2006.10.09 5495
19 19. '물 한 모금 마시고'의 '모금'은 '먹다'와 연관된 단어 風磬 2006.10.08 5686
18 18. '뚜렷하다' '또렷하다'는 원래 '둥글다'는 뜻 風磬 2006.10.07 5690
17 17. '닭의알'-->'닭이알'-->'달걀'......'달걀'은 토박이말 風磬 2006.10.06 4795
16 16. '무지개'는 '물'로 된 '문'이라는 뜻 風磬 2006.10.05 4857
15 15. '방구'(가죽피리)는 고유어가 아니라 한자어 風磬 2006.10.04 5188
14 14. '벽'의 사투리인 '베름빡'에 관하여 風磬 2006.10.03 5392
13 13. 설화에 의하면 '베짱이'는 베를 짜고 노래를 부르는 곤충. 風磬 2006.10.02 5157
12 12. '고양이'를 왜 '나비야!'하고 부를까요? 風磬 2006.10.01 5486
11 11. '노닐다'는 '놀다 + 닐다의 합성어...'닐다'는 '가다'의 뜻 風磬 2006.09.30 5350
10 10. 가루처럼 내리는 비가 '가랑비'이고 이슬처럼 내리는 비가 '이슬비' 風磬 2006.09.29 5140
9 9. 남자 생식기 '불X'의 '불'은 무엇을 뜻하는 말로부터 온 것일까요? 風磬 2006.09.28 4546
8 8. '보배'의 '배'는 한자음으로 '패'...즉 '조개 패'를 말합니다 風磬 2006.09.27 4951
7 '보신탕'은 이승만 정권 시절에 생긴 말...그 이전에는 '개장국' 風磬 2006.09.16 5064
6 낭떠러지, 벼랑 & 칭송, 칭찬 風磬 2006.09.14 4836
5 '자유'는 일본어에서 온 말이 아니라 중국의 '백화문'에서 온 말 風磬 2006.09.07 4889
4 '씨름'은 옛말 '힐후다'에서 나온 말 風磬 2006.09.07 4854
3 '수저'는 '숫가락'과 '젓가락'이 쳐진 말 風磬 2006.09.07 4773
2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09.07 5563
1 '설겆이'에서 '설겆'은 무엇일까? 風磬 2006.09.07 56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