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994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7. '곧다'와 '굳다'에서 나온 '꼿꼿하다'와 '꿋꿋하다'

  오늘날 '꼿꼿하다'란,
 1. '단단하고 길쭉한 것이 굽은 데가 없이 쪽 바르다'
 2. '배반하거나 뜻을 포기하는 일이 없이 굳세다'란 뜻이지요. 원래 1 의  뜻이었다가, 2 의 뜻으로 전의된 것입니다. 그렇지만 오늘날에는 2 의 뜻으로 더 많이 쓰입니다.  '꼿꼿하기는 개구리 삼킨 뱀'(고집이 센 사람을 일컫는 말), '꼿꼿하기는 서서 똥 누겠다'(고집이 세어서  남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 등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꼿꼿하다'는 옛말에서는'곧곧하다'로 사용되었습니다. '곧곧하다'는 '다리가 곧곧하다',  '목이 곧곧하다' 처럼 앞의 1 의 뜻으로 사용되었지요.   '곧곧하다'는 '곧다'의 어간인 '곧-'이 겹친 첩어이지요. 즉 '곧고 곧다'는 뜻입니다. 그렇지만 이 말은 '곧하다'에서 온 말이 아니라 '곧다'에서 온 말입니다.곧하다'란 단어는 쓰이지 않았었습니다. 대개 첩어가 되면 대개 첩어의 어간에 '하다'를 붙여서 사용하니까요.

  그런데 '꼿꼿하다'와 유사한 말로 '꿋꿋하다'가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까? 그러면 '꿋꿋하다'의 어원은 쉽게 이해하실 것입니다. 물론 '굳굳하다'에서 온 말이고, 이것은 '굳다'에서 온 단어입니다.  '곧다'와 '굳다'는 그 뜻이 전혀 다른  말인데,  여기에서 나온 두 단어인 '꼿꼿하다'와  '꿋꿋하다'가 마치 동일한 단어에서 모음만 바꾼 단어인 것처럼 생각되지 않습니까? 이것은 '꼿꼿하다'가  앞에서 든 1 의  뜻으로 사용되면서부터 이루어진 결과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6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바람의종 2007.01.22 3916
245 '눈 위에서 달리는 말'이 '썰매'의 어원 風磬 2006.11.20 4515
244 '눈꼽'의 '꼽'은 원래 '곱'...'곱'은 '기름'이란 뜻 風磬 2006.10.19 3670
243 '다니다'는 원래 '달려 간다'는 뜻 風磬 2006.11.16 4151
242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風磬 2006.11.07 4808
241 '딴따라패'는 영어 'tantara'의 음을 빌려 온 것 風磬 2006.12.06 4224
240 '마누라'는 원래 '임금이나 왕후를 일컫는 극존칭' 風磬 2006.11.30 4336
239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바람의종 2007.01.24 3714
238 '마요네즈'는 스페인 항구도시 '마욘'의 특산품 風磬 2006.12.25 4217
237 '먹거리'는 옳지 않은 말...그 까닭은? 風磬 2007.01.19 4609
236 '멀국/말국'은 전라도 방언...'국물'이 표준어 風磬 2006.11.06 4258
235 '메리야스'(내의)는 어디에서 나온 말일까요? 風磬 2006.12.23 3455
234 '무좀'의 '좀'은 벌레이름...'좀도둑'의 '좀'은 '조금'의 준말 風磬 2006.12.30 3637
233 '미역국을 먹다'는 여러가지 어원이 있습니다. 風磬 2006.12.15 3649
232 '바바리 코트'는 상표에서 나온 말 風磬 2006.12.22 3534
231 '박쥐'의 '박'은 '눈이 밝다'의 '밝-' 風磬 2006.12.09 4259
230 '베개'를 전북지방에서는 '비개' '벼개'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11.05 4386
229 '보신탕'은 이승만 정권 시절에 생긴 말...그 이전에는 '개장국' 風磬 2006.09.16 5044
228 '사꾸라'는 일본어...말고기를 뜻합니다 風磬 2006.11.29 4382
227 '사냥'은 원래 한자어 風磬 2006.11.14 3432
226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風磬 2006.11.02 4082
225 '새'는 '동쪽'의 의미...'샛별'은 동쪽에 제일 먼저 뜨는 별 風磬 2006.11.11 4654
224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風磬 2007.01.17 3767
223 '수저'는 '숫가락'과 '젓가락'이 쳐진 말 風磬 2006.09.07 4735
222 '숨바꼭질'의 '숨'은 '숨 쉬다'의 '숨'...'숨 + 바꿈 + 질' 風磬 2006.12.27 39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