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939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5. '곡식 한 말을 수확할 수 있는 땅' --> '한 마지기'

  '논 몇  마지기, 밭 몇  마지기'처럼, '마지기'는 농촌에서 농토의 크기를 말하는 단위로서 쓰이고 있습니다.  이때의 '마지기'의 뜻을 알고 계시는 분은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몇 섬지기'라는 말이 있어서 '마지기' 는 '마'와 '지기'로  분석될 수 있음을 금방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지기'는 '농사를  짓는다'는 말의 '지기'일까요? 아니지요. 만약에 그렇다면,  '지기'가 아니고 ' 짓기'이겠지요.  '지기'는 옛말로 '디기'였습니다. 곧 '떨어진다'는 뜻의 '디다' 의 명사형이지요.  그러니까 '마지기'는 '말 +  디기'이어서 '말디기'가  되고 디귿 앞에 서 리을  이 떨어져서  '마디기'가 되고  다시 구개음화가 되어 '마지기'가 된 것입니다. 즉 '한 말이 떨어질 수 있는 땅' 즉 '한 말을 수확할 수 있는 땅'을 '한 마지기'라고 한 것입니다.  이 '마지기'는 원래 한자로 '두락'(말 두, 떨어질 락)이었는데, 이것이 이두로서 사용되다가 오늘날까지 이어져 온 것입니다. 그렇다면  '한 섬지기'는 '한  섬을 수확할 수 있는 땅'을 말하는 셈이 되었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Date2008.08.19 By바람의종 Views3976
    Read More
  2.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Date2008.05.12 By바람의종 Views3959
    Read More
  3.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Date2006.11.02 By風磬 Views3958
    Read More
  4.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Date2008.03.29 By바람의종 Views3955
    Read More
  5. 모어에 대한 인식 3 - 언어와 민족, 그리고 문화

    Date2008.04.25 By바람의종 Views3947
    Read More
  6. '곡식 한 말을 수확할 수 있는 땅' --> '한 마지기'

    Date2006.10.20 By風磬 Views3939
    Read More
  7. '귀고리'는 귀에 거는 '고리'...'귀거리'는 틀린 말

    Date2007.01.10 By風磬 Views3932
    Read More
  8.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Date2006.11.09 By風磬 Views3927
    Read More
  9. 서울의 어원

    Date2009.08.01 By바람의종 Views3926
    Read More
  10. '찌개'는 '디히개 > 디이개> 지이개 > 지개 > 찌개'로 변화한 말

    Date2006.11.01 By風磬 Views3909
    Read More
  11.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Date2006.11.08 By風磬 Views3898
    Read More
  12.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Date2008.09.25 By바람의종 Views3885
    Read More
  13. '값이 싸다'는 원래 '값이 적당하다'는 뜻

    Date2006.10.24 By風磬 Views3884
    Read More
  14. 우리말의 상상력 2 - 1. 압록강과 오리

    Date2009.07.12 By바람의종 Views3884
    Read More
  15. 영암과 월출산 - 달래골에서 만나는 두 성인

    Date2008.09.19 By바람의종 Views3882
    Read More
  16. 미각어의 다양성 - 달짝지근하고 달콤새콤하고

    Date2008.04.20 By바람의종 Views3866
    Read More
  17.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Date2008.08.04 By바람의종 Views3843
    Read More
  18.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Date2006.11.04 By風磬 Views3818
    Read More
  19. 우리말의 상상력- 3. 목숨과 어우르기 / 술

    Date2010.02.09 By바람의종 Views3815
    Read More
  20.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Date2007.01.22 By바람의종 Views3809
    Read More
  21. '숨바꼭질'의 '숨'은 '숨 쉬다'의 '숨'...'숨 + 바꿈 + 질'

    Date2006.12.27 By風磬 Views3806
    Read More
  22. 가족 호칭어 - 며느리와 새아기

    Date2008.05.08 By바람의종 Views3803
    Read More
  23.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3/3)

    Date2009.07.08 By바람의종 Views3802
    Read More
  24.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Date2008.04.03 By바람의종 Views3798
    Read More
  25.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Date2008.05.29 By바람의종 Views377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