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069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5. '곡식 한 말을 수확할 수 있는 땅' --> '한 마지기'

  '논 몇  마지기, 밭 몇  마지기'처럼, '마지기'는 농촌에서 농토의 크기를 말하는 단위로서 쓰이고 있습니다.  이때의 '마지기'의 뜻을 알고 계시는 분은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몇 섬지기'라는 말이 있어서 '마지기' 는 '마'와 '지기'로  분석될 수 있음을 금방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지기'는 '농사를  짓는다'는 말의 '지기'일까요? 아니지요. 만약에 그렇다면,  '지기'가 아니고 ' 짓기'이겠지요.  '지기'는 옛말로 '디기'였습니다. 곧 '떨어진다'는 뜻의 '디다' 의 명사형이지요.  그러니까 '마지기'는 '말 +  디기'이어서 '말디기'가  되고 디귿 앞에 서 리을  이 떨어져서  '마디기'가 되고  다시 구개음화가 되어 '마지기'가 된 것입니다. 즉 '한 말이 떨어질 수 있는 땅' 즉 '한 말을 수확할 수 있는 땅'을 '한 마지기'라고 한 것입니다.  이 '마지기'는 원래 한자로 '두락'(말 두, 떨어질 락)이었는데, 이것이 이두로서 사용되다가 오늘날까지 이어져 온 것입니다. 그렇다면  '한 섬지기'는 '한  섬을 수확할 수 있는 땅'을 말하는 셈이 되었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바람의종 2008.08.19 4072
270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바람의종 2008.03.20 4304
269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바람의종 2008.05.11 4305
268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바람의종 2008.05.03 4215
267 허망한 언사들 1 - 별 볼일 있는 말 바람의종 2008.05.01 4343
266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바람의종 2008.09.25 3999
265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바람의종 2008.08.04 3985
264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바람의종 2008.08.03 5002
263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바람의종 2008.07.31 4851
262 처녀들께서는 부끄럼 타지 말고 '총각김치'를 드셔요 風磬 2006.12.08 4989
261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바람의종 2008.03.22 4290
260 진안과 마이산 - 난달래골에 내려온 신선 부부 바람의종 2008.09.03 4424
259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바람의종 2008.06.02 3743
258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870
257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바람의종 2008.09.20 3895
256 주술적 용어 3 - "고시"는 가까이, 잡귀는 물러가라 바람의종 2008.04.13 4366
255 주술적 용어 2 - 고마워하고 비는 기원의 말 바람의종 2008.04.10 4311
254 주술적 용어 1 - 끼, 그 가능성의 유전자 바람의종 2008.04.09 4162
253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바람의종 2008.09.26 4123
252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바람의종 2008.06.24 4105
251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風磬 2006.11.08 4005
250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09.07 5503
249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395
248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3170
247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6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