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655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4. '눈꼽'의 '꼽'은 원래 '곱'...'곱'은 '기름'이란 뜻

 < '눈꼽'의 어원>

  '꼽'자가 들어간 단어를 생각해 보시지요. '눈꼽, 배꼽, 손꼽' 등이 있습니다. 이때의 '눈'  '배' '손'이야 모르실 리 없겠지요. 그런데  '꼽'은 무슨 뜻일까요?
  '꼽'은 원래 '곱'으로서, 이때의 '곱'은 '기름'이란  뜻입니다. 이 '곱'은 '곱창'에도 남아 있습니다. '곱창'이 '기름 덩어리'임을 모르실 리 없겠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바람의종 2008.08.19 4072
270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바람의종 2008.03.20 4293
269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바람의종 2008.05.11 4303
268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바람의종 2008.05.03 4210
267 허망한 언사들 1 - 별 볼일 있는 말 바람의종 2008.05.01 4336
266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바람의종 2008.09.25 3996
265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바람의종 2008.08.04 3976
264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바람의종 2008.08.03 4992
263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바람의종 2008.07.31 4846
262 처녀들께서는 부끄럼 타지 말고 '총각김치'를 드셔요 風磬 2006.12.08 4989
261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바람의종 2008.03.22 4286
260 진안과 마이산 - 난달래골에 내려온 신선 부부 바람의종 2008.09.03 4424
259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바람의종 2008.06.02 3740
258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866
257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바람의종 2008.09.20 3890
256 주술적 용어 3 - "고시"는 가까이, 잡귀는 물러가라 바람의종 2008.04.13 4360
255 주술적 용어 2 - 고마워하고 비는 기원의 말 바람의종 2008.04.10 4303
254 주술적 용어 1 - 끼, 그 가능성의 유전자 바람의종 2008.04.09 4162
253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바람의종 2008.09.26 4123
252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바람의종 2008.06.24 4101
251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風磬 2006.11.08 4005
250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09.07 5500
249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387
248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3167
247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6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