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772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3.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지요?  둘 다 '언덕'이나 '비탈'을 뜻하는 단어인데, 분명하게 그 차이를 말하기 어렵지요?   사전을 찾아 보면 '낭떠러지'는 '깎아지른 듯한 언덕', '벼랑'은 '낭떠러지가 험하게 비탈진 언덕' 또는 '험하고 가파른 비탈'로 되어 있습니다.  그 경사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는 것도 아닌 것 같고, 그렇다고 하나는 한자어이고 하나는 고유어인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통사론적으로 보아서, 문장에서 쓰이는  차이가 있는 것도 아니고, 형태론적으로 합성어나 파생어를 만드는 데 차이가 있는 것도 아니고, 도무지 알 수 없는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이음동의어는 더더구나 아니지요. 원래 어원이 다르니까요.
  그 차이를 아시는 분은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아무튼, 그 어원만 말씀드리지요. '낭떠러지'는 '낭  + 떠러지'로 구성되어 있음을 금새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떠러지'는 알 수 있지요. '낭'은 그 자체가 '낭떠러지'란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입니다. 처음엔 '낭'으로만 사용하다가 이 단어의 원래 뜻을 잘 이해 못하니까, 여기에 다시 '떠러지'를  붙여서 그 뜻을 분명히 한 셈이지요. 이렇게 동일한 뜻을 가진 단어를 연결하여 한 단어를 구성하는 방식은 우리 국어에서 흔히 있는 일이지요.

  '벼랑'은 더 분석될 수 없는 단어 같지만, 이 단어는 '별 + 앙'으로 분석됩니다. '별'은 그 자체가 '벼랑'이란 뜻이었는데, 여기에 접미사 '-앙'이 붙어서 '벼랑'이 되었습니다. 가끔 '벼락'으로도 사용되기도 합니다.
  '벼락'이 천둥 번개치고 벼락치는 '벼락'이 아니고 '벼랑'처럼 '깎아지른 듯한 비탈'을 뜻하는  단어가  또 있습니다. 여러분들 중에서 혹시 '이 댐부락 같은 녀석'이라는 욕을 들은 사람이 있나요?  '댐부락'은 '담벼락' 또는 '댐벼락'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원래 '담 + 벼락'이 합쳐진 말입니다. '담'의 뜻은 아실 것이고, 이 때 '담'이 '댐'이 된 것은 낮춰서  말할 때 쓰는 방식이지요.  즉'이' 모음을 첨가시키면 도덕적으로 타락한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 되지요. '겨집'이  '계집'이 되는  것이 그것입니다. 이것은 소위'이 모음의 역행동화'가 아니지요.  그리고 '벼락'은 역시 '벼랑'과 동일한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바람의종 2008.07.12 3025
270 보은단 바람의종 2008.05.08 3082
269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1/2) 바람의종 2009.04.14 3083
268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3085
267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3106
266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마니산과 하늘신 바람의종 2009.11.29 3122
265 우리말의 상상력- 3. 물과 불의 만남 - 생명의 기원 바람의종 2010.02.08 3134
264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3/4) 바람의종 2009.05.09 3141
263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바람의종 2008.07.28 3147
262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바람의종 2009.05.02 3150
261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새로움과 관동(關東) 바람의종 2009.12.01 3182
260 몸짓 언어 1 - 눈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4 3190
259 경주와 남산 - 서라벌의 탄생 신화 바람의종 2008.09.09 3200
258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바람의종 2008.09.18 3207
257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바람의종 2008.07.26 3212
256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3221
255 우리말의 상상력 1 - 6. 가루와 분절 바람의종 2009.05.28 3225
254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바람의종 2008.04.23 3233
253 문래 바람의종 2008.05.05 3233
252 글의 어원 - "긋다"에서 그리움까지 바람의종 2008.04.22 3239
251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강과 삶 바람의종 2009.10.02 3242
250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바람의종 2008.03.31 3266
249 우리말의 상상력 2 - 2. 곰신앙과 땅이름 바람의종 2010.02.07 3269
248 명절, 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바람의종 2008.04.05 3271
247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바람의종 2008.03.30 32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