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954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3.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지요?  둘 다 '언덕'이나 '비탈'을 뜻하는 단어인데, 분명하게 그 차이를 말하기 어렵지요?   사전을 찾아 보면 '낭떠러지'는 '깎아지른 듯한 언덕', '벼랑'은 '낭떠러지가 험하게 비탈진 언덕' 또는 '험하고 가파른 비탈'로 되어 있습니다.  그 경사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는 것도 아닌 것 같고, 그렇다고 하나는 한자어이고 하나는 고유어인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통사론적으로 보아서, 문장에서 쓰이는  차이가 있는 것도 아니고, 형태론적으로 합성어나 파생어를 만드는 데 차이가 있는 것도 아니고, 도무지 알 수 없는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이음동의어는 더더구나 아니지요. 원래 어원이 다르니까요.
  그 차이를 아시는 분은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아무튼, 그 어원만 말씀드리지요. '낭떠러지'는 '낭  + 떠러지'로 구성되어 있음을 금새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떠러지'는 알 수 있지요. '낭'은 그 자체가 '낭떠러지'란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입니다. 처음엔 '낭'으로만 사용하다가 이 단어의 원래 뜻을 잘 이해 못하니까, 여기에 다시 '떠러지'를  붙여서 그 뜻을 분명히 한 셈이지요. 이렇게 동일한 뜻을 가진 단어를 연결하여 한 단어를 구성하는 방식은 우리 국어에서 흔히 있는 일이지요.

  '벼랑'은 더 분석될 수 없는 단어 같지만, 이 단어는 '별 + 앙'으로 분석됩니다. '별'은 그 자체가 '벼랑'이란 뜻이었는데, 여기에 접미사 '-앙'이 붙어서 '벼랑'이 되었습니다. 가끔 '벼락'으로도 사용되기도 합니다.
  '벼락'이 천둥 번개치고 벼락치는 '벼락'이 아니고 '벼랑'처럼 '깎아지른 듯한 비탈'을 뜻하는  단어가  또 있습니다. 여러분들 중에서 혹시 '이 댐부락 같은 녀석'이라는 욕을 들은 사람이 있나요?  '댐부락'은 '담벼락' 또는 '댐벼락'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원래 '담 + 벼락'이 합쳐진 말입니다. '담'의 뜻은 아실 것이고, 이 때 '담'이 '댐'이 된 것은 낮춰서  말할 때 쓰는 방식이지요.  즉'이' 모음을 첨가시키면 도덕적으로 타락한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 되지요. '겨집'이  '계집'이 되는  것이 그것입니다. 이것은 소위'이 모음의 역행동화'가 아니지요.  그리고 '벼락'은 역시 '벼랑'과 동일한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바람의종 2008.08.19 4139
270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바람의종 2008.03.20 4368
269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바람의종 2008.05.11 4377
268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바람의종 2008.05.03 4280
267 허망한 언사들 1 - 별 볼일 있는 말 바람의종 2008.05.01 4410
266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바람의종 2008.09.25 4065
265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바람의종 2008.08.04 4067
264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바람의종 2008.08.03 5060
263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바람의종 2008.07.31 4918
262 처녀들께서는 부끄럼 타지 말고 '총각김치'를 드셔요 風磬 2006.12.08 5047
261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바람의종 2008.03.22 4373
260 진안과 마이산 - 난달래골에 내려온 신선 부부 바람의종 2008.09.03 4495
259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바람의종 2008.06.02 3782
258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909
257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바람의종 2008.09.20 3972
256 주술적 용어 3 - "고시"는 가까이, 잡귀는 물러가라 바람의종 2008.04.13 4444
255 주술적 용어 2 - 고마워하고 비는 기원의 말 바람의종 2008.04.10 4367
254 주술적 용어 1 - 끼, 그 가능성의 유전자 바람의종 2008.04.09 4226
253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바람의종 2008.09.26 4184
252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바람의종 2008.06.24 4146
251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風磬 2006.11.08 4060
250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09.07 5563
249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481
248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3206
247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6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