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289 추천 수 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2. '온갖'은 '수적으로 전부의 종류'란 뜻 

  여러분들은 아마도 '온갖'을 '백 가지'로 배우셨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온'이 '백'을 나타내는 뜻이고, '갖'은 '가지'의 준말이라고 아셨을테니까요.  물론 '온'은 '백'을 뜻하는 순수한 우리 고유어입니다. 그래서 '백'을 뜻하는 '온'이 현대국어에서 의미가 전이되어 '수적으로 전부의' 뜻으로 바뀌어 사용되고 있다고 하는 것이 오늘날 '온갖'을 설명하는 방법이지요.

  그러나 '온갖'의 '온'은 '백'의 뜻이 아닙니다. 이것은 '오알다'('알'은 아래아 자임)의 활용형입니다.  '오알다'는 한자로 '전'(온전 전)인데, 그 석이 '오알  전'이었습니다. 이 활용형은 '오안'('안'은 아래 아자)이 되고 이것이 앞의 모음 '오' 때문에 동화되어 '오온'이 되고 이것이 다시 '온'이 된 것입니다. 그 결과 '온갖'은 '수적으로 전부의 종류'란 뜻으로 쓰인 것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모어에 대한 인식 3 - 언어와 민족, 그리고 문화 바람의종 2008.04.25 4046
120 모어에 대한 인식 2 - 낮은 목소리, 짧은 표현 바람의종 2008.04.24 3398
119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바람의종 2008.04.23 3366
118 명절, 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바람의종 2008.04.05 3371
117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615
116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900
115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바람의종 2008.05.12 4067
114 말의 어원 - "말"이라는 말의 뿌리 바람의종 2008.04.21 3732
113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바람의종 2008.05.23 3498
112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바람의종 2008.09.23 3432
111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風磬 2006.11.04 3984
110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바람의종 2008.05.10 3586
109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風磬 2006.10.23 4802
108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3368
107 다방의 '레지'는 영어의 'register'에서 온 말 風磬 2006.12.01 5305
106 농경 생활 용어 3 - 사계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8 3377
105 농경 생활 용어 2 - 바람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7 3483
104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바람의종 2008.04.06 3402
103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3267
102 낭떠러지, 벼랑 & 칭송, 칭찬 風磬 2006.09.14 4836
101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바람의종 2008.09.18 3486
100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바람의종 2008.07.29 3572
99 글의 어원 - "긋다"에서 그리움까지 바람의종 2008.04.22 3343
98 과메기 바람의종 2008.03.22 3463
97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바람의종 2008.08.28 35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