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299 추천 수 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2. '온갖'은 '수적으로 전부의 종류'란 뜻 

  여러분들은 아마도 '온갖'을 '백 가지'로 배우셨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온'이 '백'을 나타내는 뜻이고, '갖'은 '가지'의 준말이라고 아셨을테니까요.  물론 '온'은 '백'을 뜻하는 순수한 우리 고유어입니다. 그래서 '백'을 뜻하는 '온'이 현대국어에서 의미가 전이되어 '수적으로 전부의' 뜻으로 바뀌어 사용되고 있다고 하는 것이 오늘날 '온갖'을 설명하는 방법이지요.

  그러나 '온갖'의 '온'은 '백'의 뜻이 아닙니다. 이것은 '오알다'('알'은 아래아 자임)의 활용형입니다.  '오알다'는 한자로 '전'(온전 전)인데, 그 석이 '오알  전'이었습니다. 이 활용형은 '오안'('안'은 아래 아자)이 되고 이것이 앞의 모음 '오' 때문에 동화되어 '오온'이 되고 이것이 다시 '온'이 된 것입니다. 그 결과 '온갖'은 '수적으로 전부의 종류'란 뜻으로 쓰인 것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風磬 2006.11.02 4093
45 '사냥'은 원래 한자어 風磬 2006.11.14 3444
44 '사꾸라'는 일본어...말고기를 뜻합니다 風磬 2006.11.29 4393
43 '보신탕'은 이승만 정권 시절에 생긴 말...그 이전에는 '개장국' 風磬 2006.09.16 5081
42 '베개'를 전북지방에서는 '비개' '벼개'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11.05 4395
41 '박쥐'의 '박'은 '눈이 밝다'의 '밝-' 風磬 2006.12.09 4279
40 '바바리 코트'는 상표에서 나온 말 風磬 2006.12.22 3569
39 '미역국을 먹다'는 여러가지 어원이 있습니다. 風磬 2006.12.15 3670
38 '무좀'의 '좀'은 벌레이름...'좀도둑'의 '좀'은 '조금'의 준말 風磬 2006.12.30 3673
37 '메리야스'(내의)는 어디에서 나온 말일까요? 風磬 2006.12.23 3484
36 '멀국/말국'은 전라도 방언...'국물'이 표준어 風磬 2006.11.06 4280
35 '먹거리'는 옳지 않은 말...그 까닭은? 風磬 2007.01.19 4622
34 '마요네즈'는 스페인 항구도시 '마욘'의 특산품 風磬 2006.12.25 4253
33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바람의종 2007.01.24 3728
32 '마누라'는 원래 '임금이나 왕후를 일컫는 극존칭' 風磬 2006.11.30 4363
31 '딴따라패'는 영어 'tantara'의 음을 빌려 온 것 風磬 2006.12.06 4238
30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風磬 2006.11.07 4819
29 '다니다'는 원래 '달려 간다'는 뜻 風磬 2006.11.16 4162
28 '눈꼽'의 '꼽'은 원래 '곱'...'곱'은 '기름'이란 뜻 風磬 2006.10.19 3706
27 '눈 위에서 달리는 말'이 '썰매'의 어원 風磬 2006.11.20 4542
26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바람의종 2007.01.22 3929
25 '노들강변'은 '노량진 나루터'를 말하는 고유명사 ...버드나무와 상관없어 風磬 2007.01.18 4744
24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風磬 2006.10.30 3861
23 '꿩 먹고 알 먹고'가 '일석이조'란 의미로 쓰이는 까닭은? 風磬 2006.11.27 4640
22 '깡패'에는 두가지 어원설이 있습니다. 風磬 2006.12.07 45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