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133 추천 수 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2. '온갖'은 '수적으로 전부의 종류'란 뜻 

  여러분들은 아마도 '온갖'을 '백 가지'로 배우셨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온'이 '백'을 나타내는 뜻이고, '갖'은 '가지'의 준말이라고 아셨을테니까요.  물론 '온'은 '백'을 뜻하는 순수한 우리 고유어입니다. 그래서 '백'을 뜻하는 '온'이 현대국어에서 의미가 전이되어 '수적으로 전부의' 뜻으로 바뀌어 사용되고 있다고 하는 것이 오늘날 '온갖'을 설명하는 방법이지요.

  그러나 '온갖'의 '온'은 '백'의 뜻이 아닙니다. 이것은 '오알다'('알'은 아래아 자임)의 활용형입니다.  '오알다'는 한자로 '전'(온전 전)인데, 그 석이 '오알  전'이었습니다. 이 활용형은 '오안'('안'은 아래 아자)이 되고 이것이 앞의 모음 '오' 때문에 동화되어 '오온'이 되고 이것이 다시 '온'이 된 것입니다. 그 결과 '온갖'은 '수적으로 전부의 종류'란 뜻으로 쓰인 것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No Image 16Nov
    by 風磬
    2006/11/16 by 風磬
    Views 4025 

    '다니다'는 원래 '달려 간다'는 뜻

  2. No Image 24Jun
    by 바람의종
    2008/06/24 by 바람의종
    Views 4026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3. No Image 18Mar
    by 바람의종
    2008/03/18 by 바람의종
    Views 4055 

    우리말의 속살 - 유아의 언어 습득 말문은 저절로 트인다

  4. No Image 21Oct
    by 風磬
    2006/10/21 by 風磬
    Views 4078 

    '곰'과 '팡이'의 어원을 아셔요?

  5. No Image 29Jun
    by 바람의종
    2009/06/29 by 바람의종
    Views 4084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2/2)

  6. No Image 09Apr
    by 바람의종
    2008/04/09 by 바람의종
    Views 4099 

    주술적 용어 1 - 끼, 그 가능성의 유전자

  7. No Image 09Dec
    by 風磬
    2006/12/09 by 風磬
    Views 4101 

    '박쥐'의 '박'은 '눈이 밝다'의 '밝-'

  8. No Image 25Dec
    by 風磬
    2006/12/25 by 風磬
    Views 4102 

    '마요네즈'는 스페인 항구도시 '마욘'의 특산품

  9. No Image 06Dec
    by 風磬
    2006/12/06 by 風磬
    Views 4108 

    '딴따라패'는 영어 'tantara'의 음을 빌려 온 것

  10. No Image 15Jul
    by 바람의종
    2009/07/15 by 바람의종
    Views 4117 

    우리말의 상상력 2 - 1. 한강의 뿌리, 우통수(于筒水)

  11. No Image 18Dec
    by 風磬
    2006/12/18 by 風磬
    Views 4119 

    '가게'는 널판지로 만든 시렁에 물건을 진열하여 놓고 파는 곳

  12. No Image 03May
    by 바람의종
    2008/05/03 by 바람의종
    Views 4127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13. No Image 11Oct
    by 風磬
    2006/10/11 by 風磬
    Views 4133 

    22. '온갖'은 '수적으로 전부의 종류'란 뜻

  14. No Image 17Nov
    by 風磬
    2006/11/17 by 風磬
    Views 4145 

    "똥뀐 녀석이 성낸다"는 말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

  15. No Image 25Jan
    by 바람의종
    2007/01/25 by 바람의종
    Views 4145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16. No Image 14Dec
    by 風磬
    2006/12/14 by 風磬
    Views 4151 

    '감기'는 옛날에 '고뿔'이라고 불렀습니다. 곧 '코에 불(열)이 난다는 뜻

  17. No Image 14Jan
    by 風磬
    2007/01/14 by 風磬
    Views 4161 

    '곰보'는 '곪다'의 '곪-'에 접미사 '-보'가 붙어서 된 말

  18. No Image 19Jul
    by 바람의종
    2008/07/19 by 바람의종
    Views 4162 

    고유어 인명 - 돌쇠면 어떻고 개똥이면 어떤가

  19. No Image 06Nov
    by 風磬
    2006/11/06 by 風磬
    Views 4172 

    '멀국/말국'은 전라도 방언...'국물'이 표준어

  20. No Image 11Dec
    by 風磬
    2006/12/11 by 風磬
    Views 4174 

    '양말'의 ‘말’은 한자의 '버선 말'자...여기에 '서양 양'이 붙은 것입니다.

  21. No Image 03May
    by 바람의종
    2008/05/03 by 바람의종
    Views 4175 

    모주

  22. No Image 05Dec
    by 風磬
    2006/12/05 by 風磬
    Views 4188 

    '우두머리'는 옛날에는 비칭이 아니라 평칭이었습니다.

  23. No Image 22Mar
    by 바람의종
    2008/03/22 by 바람의종
    Views 4206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24. No Image 20Mar
    by 바람의종
    2008/03/20 by 바람의종
    Views 4212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25. No Image 10Apr
    by 바람의종
    2008/04/10 by 바람의종
    Views 4218 

    주술적 용어 2 - 고마워하고 비는 기원의 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