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899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1. '꽁치'의 어원에 관한 유력한 설이 있습니다

  생선의 하나인 '꽁치'를 모르시거나 한 번도 드시지 않은 분은 없겠지요. 이 '꽁치'의 어원은 현재로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치'는 물고기를 나타내는 접미사로서 알고 있지요. '넙적한 물고기'는 '넙치', '날라서 가는 물고기'는 '날치', '칼과 같은  물고기'는  '갈치'('칼'은 예전엔 '갈'이었으니까요), '검은 물고기'는 '가물치' 등등, '-치'가 무척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치'가 붙은 물고기 중에 알 수 없는 것이 몇 가지 있습니다. 그 중의 하나가 '꽁치'와 '멸치'입니다. '멸치'의 어원은 알 수 없고, '꽁치'에 대해서  말씀드리지요.  '꽁치'에 대해서는 '아언각비'에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습니다. '꽁치'는 원래 '공치'인데, 이 물고기는  아가미  근처에 침을 놓은 듯 '구멍'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공치'는 '구멍 공'의 '공'에 '-치'가 붙었다는 설명입니다.  이것이 된소리가 되어 '꽁치'가 되었다는 것 같습니다. 아언각비의 설명을 그대로  믿기는 어렵지만, 아직까지는 이 설이 가장 그럴 듯합니다. '꽁치'를 한 번 살펴 보시지요. 다른  설명을 할 수 있는 분은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6 '고독'이란 말을 함부로 말씀하지 마셔요. 風磬 2006.12.21 5577
245 '설겆이'에서 '설겆'은 무엇일까? 風磬 2006.09.07 5551
244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09.07 5505
243 20. '만나다'는 '맞나다'에서 온말 風磬 2006.10.09 5428
242 12. '고양이'를 왜 '나비야!'하고 부를까요? 風磬 2006.10.01 5411
241 우리말의 상상력- 3. 집과 수풀 바람의종 2010.02.21 5376
240 14. '벽'의 사투리인 '베름빡'에 관하여 風磬 2006.10.03 5318
239 다방의 '레지'는 영어의 'register'에서 온 말 風磬 2006.12.01 5269
238 11. '노닐다'는 '놀다 + 닐다의 합성어...'닐다'는 '가다'의 뜻 風磬 2006.09.30 5264
237 '고주망태'의 '고주'는 원래 토박이말...그 뜻은? 風磬 2006.11.22 5237
236 우리말의 속살 - 요람기의 용어 어화둥둥 금자둥아, 얼싸둥둥 은자둥아 바람의종 2008.03.16 5225
235 '거지'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風磬 2006.12.12 5202
234 15. '방구'(가죽피리)는 고유어가 아니라 한자어 風磬 2006.10.04 5098
233 10. 가루처럼 내리는 비가 '가랑비'이고 이슬처럼 내리는 비가 '이슬비' 風磬 2006.09.29 5094
232 13. 설화에 의하면 '베짱이'는 베를 짜고 노래를 부르는 곤충. 風磬 2006.10.02 5082
231 우리말의 상상력- 3. 금 캐는 마동(薯童) 바람의종 2010.02.22 5060
230 '김치'는 한자어...'짠지'는 토박이말 風磬 2006.11.18 5029
229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바람의종 2008.08.03 5003
228 처녀들께서는 부끄럼 타지 말고 '총각김치'를 드셔요 風磬 2006.12.08 4994
227 '보신탕'은 이승만 정권 시절에 생긴 말...그 이전에는 '개장국' 風磬 2006.09.16 4988
226 '곧다'와 '굳다'에서 나온 '꼿꼿하다'와 '꿋꿋하다' 風磬 2006.10.22 4943
» 21. '꽁치'의 어원에 관한 유력한 설이 있습니다 風磬 2006.10.10 4899
224 8. '보배'의 '배'는 한자음으로 '패'...즉 '조개 패'를 말합니다 風磬 2006.09.27 4892
223 '양치질'은 양지(버드나무 가지)에 접미사 '질'이 붙은 것 風磬 2006.12.10 4879
222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風磬 2006.10.31 48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