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863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1. '꽁치'의 어원에 관한 유력한 설이 있습니다

  생선의 하나인 '꽁치'를 모르시거나 한 번도 드시지 않은 분은 없겠지요. 이 '꽁치'의 어원은 현재로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치'는 물고기를 나타내는 접미사로서 알고 있지요. '넙적한 물고기'는 '넙치', '날라서 가는 물고기'는 '날치', '칼과 같은  물고기'는  '갈치'('칼'은 예전엔 '갈'이었으니까요), '검은 물고기'는 '가물치' 등등, '-치'가 무척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치'가 붙은 물고기 중에 알 수 없는 것이 몇 가지 있습니다. 그 중의 하나가 '꽁치'와 '멸치'입니다. '멸치'의 어원은 알 수 없고, '꽁치'에 대해서  말씀드리지요.  '꽁치'에 대해서는 '아언각비'에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습니다. '꽁치'는 원래 '공치'인데, 이 물고기는  아가미  근처에 침을 놓은 듯 '구멍'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공치'는 '구멍 공'의 '공'에 '-치'가 붙었다는 설명입니다.  이것이 된소리가 되어 '꽁치'가 되었다는 것 같습니다. 아언각비의 설명을 그대로  믿기는 어렵지만, 아직까지는 이 설이 가장 그럴 듯합니다. '꽁치'를 한 번 살펴 보시지요. 다른  설명을 할 수 있는 분은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6 우리말 숫자관 - 닫히고 열리기가 골백번 바람의종 2008.04.01 3337
245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바람의종 2008.04.02 3343
244 우리말의 애매성 -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 바람의종 2008.04.30 3349
243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바람의종 2008.03.31 3350
242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바람의종 2008.03.30 3351
241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바람의종 2008.04.06 3353
240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바람의종 2008.09.23 3354
239 우리말의 상상력 2 - 2. 곰신앙과 땅이름 바람의종 2010.02.07 3357
238 '사냥'은 원래 한자어 風磬 2006.11.14 3367
237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367
236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죽령(竹嶺)과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바람의종 2010.01.19 3375
235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소리란 무엇인가 바람의종 2010.01.22 3379
234 안동과 하회 마을 - 제비연에서 물도리동까지 바람의종 2008.09.04 3385
233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바람의종 2008.09.18 3388
232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1/2) 바람의종 2009.06.15 3392
231 '메리야스'(내의)는 어디에서 나온 말일까요? 風磬 2006.12.23 3395
230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1/2) 바람의종 2009.06.17 3397
229 과메기 바람의종 2008.03.22 3400
228 농경 생활 용어 2 - 바람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7 3403
227 '시냇물'은 '실'+'내'+'물'이 합쳐서 생긴 말 風磬 2007.01.02 3423
226 보은과 속리산 -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바람의종 2008.09.02 3427
225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백마강, 강릉 바람의종 2009.09.21 3433
224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바람의종 2008.05.23 3437
223 우리말의 상상력 1 - 8. 힘과 해 (2/2) 바람의종 2009.06.12 3438
222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두만강과 조선왕조, 대동강과 한겨레 바람의종 2009.07.16 34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