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575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19. '물 한 모금 마시고'의 '모금'은 '먹다'와 연관된 단어 
 
 
  '물 한 모금 마시고 하늘 한 번 쳐다보고' 제가 국민학교 때 국어 시간에 배웠던 동시의 한 구절입니다. 이  때 '모금'은 지금은 그 어원이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지만,  옛말의 형태를 보시면 금방 그 어원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옛말에서는 '모금'은 '머곰', 또는 '먹옴'이었으니까요.  그러면 쉽게 그 어원을 짐작하시겠지요?  '먹다'와  연관된 단어입니다. 어간 '먹-'에 명사형 접미사인 '음',  또는 '옴'이 붙어서 된 단어이거나, 이 '먹-'에서 파생된 단어인 '머곰다'의 어간형이 그대로 명사가 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동사 어간이 그대로  명사로 쓰이는 예는 그리 흔하지 않아서,  전자의 설명이 맞을 것입니다. 그러니까, '머곰다'(또는 '머굼다')가 오히려  '머곰'에서 파생된 단어라고 할 수 있지요. 이러한 것을 영 파생이라고 하는데, 우리 국어에서는 그 예를 흔히 발견할 수 있지요. 예를 들면,

     '신' - '신다'
     '품' - '품다'
     '안' - '안다'
     '배' - '배다'
     '띠' - '띠다'
     '되' - '되다'
     '갈(칼)' - '갈다'
     '빗' - '빗다'

 등등이 그러한 예들입니다. 물론 이중에는 동사에서 명사로 파생된 것도 있습니다.  '머곰'의 '머'는 '미음' 때문에 뒤의 모음 '어'가 원순모음화되어서 '모곰'이 되고 이것이 다시 '모금'으로 변화한 것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바람의종 2008.08.19 4038
270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바람의종 2008.03.20 4242
269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바람의종 2008.05.11 4273
268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바람의종 2008.05.03 4176
267 허망한 언사들 1 - 별 볼일 있는 말 바람의종 2008.05.01 4286
266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바람의종 2008.09.25 3923
265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바람의종 2008.08.04 3904
264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바람의종 2008.08.03 4942
263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바람의종 2008.07.31 4782
262 처녀들께서는 부끄럼 타지 말고 '총각김치'를 드셔요 風磬 2006.12.08 4937
261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바람의종 2008.03.22 4253
260 진안과 마이산 - 난달래골에 내려온 신선 부부 바람의종 2008.09.03 4380
259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바람의종 2008.06.02 3687
258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821
257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바람의종 2008.09.20 3833
256 주술적 용어 3 - "고시"는 가까이, 잡귀는 물러가라 바람의종 2008.04.13 4327
255 주술적 용어 2 - 고마워하고 비는 기원의 말 바람의종 2008.04.10 4253
254 주술적 용어 1 - 끼, 그 가능성의 유전자 바람의종 2008.04.09 4111
253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바람의종 2008.09.26 4039
252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바람의종 2008.06.24 4045
251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風磬 2006.11.08 3925
250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09.07 5431
249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362
248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3111
247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5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