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188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15. '방구'(가죽피리)는 고유어가 아니라 한자어

  여러분 중에 '가죽피리'라는 은어를 아시나요? 생리작용에 의하여 일어나는 증상의 하나이지요. 그런데 이 '방구'는 고유어 같은가요?  아닙니다. 한자어입니다. 즉 '방기'입니다. '방'은 '놓을 방'  그리고 '기'는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한자인데, '갓 변'에  '기운기'를 쓴 자입니다. 그런데 '방기'가 어떻게 해서 '방구'가  되었느냐구요?
  이 '방구'는  옛말에서는 '방긔'라고 했었기 때문에 오늘날 '방구'가 가능하지요. 오늘날에는  이것이 한자어인 줄 모르게  된 것입니다.

  근거가 있느냐구요? 그럼요. 17세기 이후의 모든 문헌에 '방긔'로 나오고 이것의 한자가 표시되어 있지요. '역어유해' 등에서  찾아 보세요. 틀림없을 테니까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 '새'는 '동쪽'의 의미...'샛별'은 동쪽에 제일 먼저 뜨는 별 風磬 2006.11.11 4655
45 '학독'이란 단어의 뜻을 아십니까? 風磬 2006.11.10 4656
44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風磬 2006.11.09 4028
43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風磬 2006.11.08 4056
42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風磬 2006.11.07 4817
41 '멀국/말국'은 전라도 방언...'국물'이 표준어 風磬 2006.11.06 4268
40 '베개'를 전북지방에서는 '비개' '벼개'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11.05 4387
39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風磬 2006.11.04 3974
38 "영낙없이 지 애비 탁했네" -> "영낙없이 지 애비 닮았네" 風磬 2006.11.03 4663
37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風磬 2006.11.02 4085
36 '찌개'는 '디히개 > 디이개> 지이개 > 지개 > 찌개'로 변화한 말 風磬 2006.11.01 3983
35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風磬 2006.10.31 4898
34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風磬 2006.10.30 3839
33 '지붕'은 '집'의 '위'란 뜻 風磬 2006.10.28 4673
32 생식기 근처에 난 털을 뭐라고 하는지 아셔요? 風磬 2006.10.27 4463
31 '아깝다'와 '아끼다'는 연관된 단어 風磬 2006.10.26 4527
30 "구실을 삼다"와 "사람 구실을 못한다"에서 風磬 2006.10.25 4785
29 '값이 싸다'는 원래 '값이 적당하다'는 뜻 風磬 2006.10.24 4017
28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風磬 2006.10.23 4791
27 '곧다'와 '굳다'에서 나온 '꼿꼿하다'와 '꿋꿋하다' 風磬 2006.10.22 5011
26 '곰'과 '팡이'의 어원을 아셔요? 風磬 2006.10.21 4247
25 '곡식 한 말을 수확할 수 있는 땅' --> '한 마지기' 風磬 2006.10.20 4125
24 '눈꼽'의 '꼽'은 원래 '곱'...'곱'은 '기름'이란 뜻 風磬 2006.10.19 3693
23 23.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風磬 2006.10.18 3953
22 22. '온갖'은 '수적으로 전부의 종류'란 뜻 風磬 2006.10.11 42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