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975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15. '방구'(가죽피리)는 고유어가 아니라 한자어

  여러분 중에 '가죽피리'라는 은어를 아시나요? 생리작용에 의하여 일어나는 증상의 하나이지요. 그런데 이 '방구'는 고유어 같은가요?  아닙니다. 한자어입니다. 즉 '방기'입니다. '방'은 '놓을 방'  그리고 '기'는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한자인데, '갓 변'에  '기운기'를 쓴 자입니다. 그런데 '방기'가 어떻게 해서 '방구'가  되었느냐구요?
  이 '방구'는  옛말에서는 '방긔'라고 했었기 때문에 오늘날 '방구'가 가능하지요. 오늘날에는  이것이 한자어인 줄 모르게  된 것입니다.

  근거가 있느냐구요? 그럼요. 17세기 이후의 모든 문헌에 '방긔'로 나오고 이것의 한자가 표시되어 있지요. '역어유해' 등에서  찾아 보세요. 틀림없을 테니까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風磬 2006.11.02 3956
45 '사냥'은 원래 한자어 風磬 2006.11.14 3278
44 '사꾸라'는 일본어...말고기를 뜻합니다 風磬 2006.11.29 4231
43 '보신탕'은 이승만 정권 시절에 생긴 말...그 이전에는 '개장국' 風磬 2006.09.16 4804
42 '베개'를 전북지방에서는 '비개' '벼개'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11.05 4228
41 '박쥐'의 '박'은 '눈이 밝다'의 '밝-' 風磬 2006.12.09 4096
40 '바바리 코트'는 상표에서 나온 말 風磬 2006.12.22 3415
39 '미역국을 먹다'는 여러가지 어원이 있습니다. 風磬 2006.12.15 3518
38 '무좀'의 '좀'은 벌레이름...'좀도둑'의 '좀'은 '조금'의 준말 風磬 2006.12.30 3505
37 '메리야스'(내의)는 어디에서 나온 말일까요? 風磬 2006.12.23 3359
36 '멀국/말국'은 전라도 방언...'국물'이 표준어 風磬 2006.11.06 4168
35 '먹거리'는 옳지 않은 말...그 까닭은? 風磬 2007.01.19 4469
34 '마요네즈'는 스페인 항구도시 '마욘'의 특산품 風磬 2006.12.25 4092
33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바람의종 2007.01.24 3555
32 '마누라'는 원래 '임금이나 왕후를 일컫는 극존칭' 風磬 2006.11.30 4210
31 '딴따라패'는 영어 'tantara'의 음을 빌려 온 것 風磬 2006.12.06 4102
30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風磬 2006.11.07 4658
29 '다니다'는 원래 '달려 간다'는 뜻 風磬 2006.11.16 4021
28 '눈꼽'의 '꼽'은 원래 '곱'...'곱'은 '기름'이란 뜻 風磬 2006.10.19 3515
27 '눈 위에서 달리는 말'이 '썰매'의 어원 風磬 2006.11.20 4323
26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바람의종 2007.01.22 3785
25 '노들강변'은 '노량진 나루터'를 말하는 고유명사 ...버드나무와 상관없어 風磬 2007.01.18 4546
24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風磬 2006.10.30 3670
23 '꿩 먹고 알 먹고'가 '일석이조'란 의미로 쓰이는 까닭은? 風磬 2006.11.27 4440
22 '깡패'에는 두가지 어원설이 있습니다. 風磬 2006.12.07 44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