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146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13. 설화에 의하면 '베짱이'는 베를 짜고 노래를 부르는 곤충.

  '베짱이'를 아시나요? 메뚜기의 일종이지요. '베짱이와 개미'의 이솝우화도 아시겠지요. '베짱이'는 옛말에는 '뵈짱이'였습니다. 물론 '짱'은 어두에 '비읍지읒'을 가지고 있었던 단어입니다.  그러니까 '뵈짱이'는 '뵈 +  짜- + 앙이'로 구성되어 있었던 단어입니다. '뵈'는 지금의 '베'이고 '자-'는 '베를 짜다'의 '짜'입니다. 그리고 '-앙이'는 작은 것을 나타내는 지소사입니다. 즉 '베를 짜는 작은 동물'이란 뜻입니다.
  어떻게 해서 '베짱이'가  '베를 짜는 것'으로  인식되었는 지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만, 여러 가지 설화에 의하면 '베짱이'는 베를 짜고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바람의종 2008.08.19 4137
270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바람의종 2008.03.20 4367
269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바람의종 2008.05.11 4374
268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바람의종 2008.05.03 4279
267 허망한 언사들 1 - 별 볼일 있는 말 바람의종 2008.05.01 4409
266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바람의종 2008.09.25 4056
265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바람의종 2008.08.04 4064
264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바람의종 2008.08.03 5052
263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바람의종 2008.07.31 4912
262 처녀들께서는 부끄럼 타지 말고 '총각김치'를 드셔요 風磬 2006.12.08 5046
261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바람의종 2008.03.22 4365
260 진안과 마이산 - 난달래골에 내려온 신선 부부 바람의종 2008.09.03 4495
259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바람의종 2008.06.02 3781
258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908
257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바람의종 2008.09.20 3958
256 주술적 용어 3 - "고시"는 가까이, 잡귀는 물러가라 바람의종 2008.04.13 4433
255 주술적 용어 2 - 고마워하고 비는 기원의 말 바람의종 2008.04.10 4363
254 주술적 용어 1 - 끼, 그 가능성의 유전자 바람의종 2008.04.09 4217
253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바람의종 2008.09.26 4173
252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바람의종 2008.06.24 4143
251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風磬 2006.11.08 4052
250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09.07 5558
249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474
248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3206
247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6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