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146 추천 수 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11. '노닐다'는 '놀다 + 닐다의 합성어...'닐다'는 '가다'의 뜻

  '한가롭게 이리 저리 거닐며 놀다'의 뜻을 가진 '노닐다'의 어원은 아주 쉽게 풀 수 있지요. 이것은 '놀다 + 닐다'의 합성어입니다. '놀다'의 뜻은 잘 아실 것이고, '닐다'는 '가다'의  뜻입니다. 옛말에서는 '니다'와 '닐다'의 두 형태가 '가다'의 뜻을 지니고 있었지요.

  '니은' 앞에서 '리을'이 탈락하는 현상은 흔히 발견되는 우리 국어의 음운현상이지요. '살다'의 어간 '살-'에 '-니'가 붙으면, '사니'가 되듯 말입니다. 요즈음은 이러한 현상을 없애기라도 하듯 '살으니'로 쓰는 사람도  있습니다만, 이것은 유추에 의한 현상이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 '새'는 '동쪽'의 의미...'샛별'은 동쪽에 제일 먼저 뜨는 별 風磬 2006.11.11 4499
45 '학독'이란 단어의 뜻을 아십니까? 風磬 2006.11.10 4518
44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風磬 2006.11.09 3923
43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風磬 2006.11.08 3889
42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風磬 2006.11.07 4659
41 '멀국/말국'은 전라도 방언...'국물'이 표준어 風磬 2006.11.06 4168
40 '베개'를 전북지방에서는 '비개' '벼개'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11.05 4228
39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風磬 2006.11.04 3818
38 "영낙없이 지 애비 탁했네" -> "영낙없이 지 애비 닮았네" 風磬 2006.11.03 4470
37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風磬 2006.11.02 3956
36 '찌개'는 '디히개 > 디이개> 지이개 > 지개 > 찌개'로 변화한 말 風磬 2006.11.01 3909
35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風磬 2006.10.31 4746
34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風磬 2006.10.30 3670
33 '지붕'은 '집'의 '위'란 뜻 風磬 2006.10.28 4468
32 생식기 근처에 난 털을 뭐라고 하는지 아셔요? 風磬 2006.10.27 4313
31 '아깝다'와 '아끼다'는 연관된 단어 風磬 2006.10.26 4372
30 "구실을 삼다"와 "사람 구실을 못한다"에서 風磬 2006.10.25 4545
29 '값이 싸다'는 원래 '값이 적당하다'는 뜻 風磬 2006.10.24 3882
28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風磬 2006.10.23 4638
27 '곧다'와 '굳다'에서 나온 '꼿꼿하다'와 '꿋꿋하다' 風磬 2006.10.22 4775
26 '곰'과 '팡이'의 어원을 아셔요? 風磬 2006.10.21 4063
25 '곡식 한 말을 수확할 수 있는 땅' --> '한 마지기' 風磬 2006.10.20 3934
24 '눈꼽'의 '꼽'은 원래 '곱'...'곱'은 '기름'이란 뜻 風磬 2006.10.19 3515
23 23.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風磬 2006.10.18 3752
22 22. '온갖'은 '수적으로 전부의 종류'란 뜻 風磬 2006.10.11 41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