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780 추천 수 2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8. '보배'의 '배'는 한자음으로 '패'...즉 '조개 패'를 말합니다

  '보배'는 어느 나라에서 온 말일까요? '보'자는 '보배 보'자라고 해서 한자임에  틀림이 없지만, '배'는 무엇일까요?  '배'도 역시 한자음인데, 우리나라 한자음으로는 '패'로  읽지요.  즉 '조개 패'자입니다. 이 '보패'가 중국음으로서는 '보배'가 되어 우리나라에 그대로 전래된 것이지요.  한자로 된 중국의 단어를 받아들일 때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하나는 중국의 발음을 원음대로 받아들이는 것이고, 또 하나는 우리나라의 음운규칙에  따라 우리나라 음으로 받아 들이는 경우의 두 가지가 그것입니다. '보배'는 바로 전자의 방식으로 받아들인 것입니다. 

  전자의 방식으로 받아들인 것의 대표는 '다홍 치마'의 '다홍'입니다. '클 대,  붉을 홍'이라서 우리나라 음으로는 '대홍'이지만, 중국음으로는 '다홍'입니다.

  후자의 방식으로 받아들인 것은 '주전자' 등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 글의 어원 - "긋다"에서 그리움까지 바람의종 2008.04.22 3245
20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강과 삶 바람의종 2009.10.02 3245
19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바람의종 2008.04.23 3237
18 문래 바람의종 2008.05.05 3233
17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3232
16 우리말의 상상력 1 - 6. 가루와 분절 바람의종 2009.05.28 3227
15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바람의종 2008.07.26 3222
14 경주와 남산 - 서라벌의 탄생 신화 바람의종 2008.09.09 3207
13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바람의종 2008.09.18 3207
12 몸짓 언어 1 - 눈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4 3194
11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새로움과 관동(關東) 바람의종 2009.12.01 3191
10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바람의종 2008.07.28 3160
9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바람의종 2009.05.02 3154
8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3/4) 바람의종 2009.05.09 3146
7 우리말의 상상력- 3. 물과 불의 만남 - 생명의 기원 바람의종 2010.02.08 3143
6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마니산과 하늘신 바람의종 2009.11.29 3126
5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3108
4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1/2) 바람의종 2009.04.14 3098
3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3085
2 보은단 바람의종 2008.05.08 3082
1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바람의종 2008.07.12 30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