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814 추천 수 2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8. '보배'의 '배'는 한자음으로 '패'...즉 '조개 패'를 말합니다

  '보배'는 어느 나라에서 온 말일까요? '보'자는 '보배 보'자라고 해서 한자임에  틀림이 없지만, '배'는 무엇일까요?  '배'도 역시 한자음인데, 우리나라 한자음으로는 '패'로  읽지요.  즉 '조개 패'자입니다. 이 '보패'가 중국음으로서는 '보배'가 되어 우리나라에 그대로 전래된 것이지요.  한자로 된 중국의 단어를 받아들일 때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하나는 중국의 발음을 원음대로 받아들이는 것이고, 또 하나는 우리나라의 음운규칙에  따라 우리나라 음으로 받아 들이는 경우의 두 가지가 그것입니다. '보배'는 바로 전자의 방식으로 받아들인 것입니다. 

  전자의 방식으로 받아들인 것의 대표는 '다홍 치마'의 '다홍'입니다. '클 대,  붉을 홍'이라서 우리나라 음으로는 '대홍'이지만, 중국음으로는 '다홍'입니다.

  후자의 방식으로 받아들인 것은 '주전자' 등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백마강, 강릉 바람의종 2009.09.21 3386
45 과메기 바람의종 2008.03.22 3383
44 보은과 속리산 -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바람의종 2008.09.02 3382
43 '시냇물'은 '실'+'내'+'물'이 합쳐서 생긴 말 風磬 2007.01.02 3378
42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바람의종 2008.09.18 3378
41 농경 생활 용어 2 - 바람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7 3376
40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362
39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소리란 무엇인가 바람의종 2010.01.22 3362
38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바람의종 2008.09.23 3333
37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죽령(竹嶺)과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바람의종 2010.01.19 3328
36 '사냥'은 원래 한자어 風磬 2006.11.14 3326
35 안동과 하회 마을 - 제비연에서 물도리동까지 바람의종 2008.09.04 3326
34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1/2) 바람의종 2009.06.17 3322
33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바람의종 2008.03.30 3319
32 몸짓 언어 2 - 가슴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5 3318
31 우리말 숫자관 - 닫히고 열리기가 골백번 바람의종 2008.04.01 3315
30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바람의종 2008.04.02 3315
29 우리말의 애매성 -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 바람의종 2008.04.30 3314
28 모어에 대한 인식 2 - 낮은 목소리, 짧은 표현 바람의종 2008.04.24 3311
27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1/2) 바람의종 2009.06.15 3308
26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바람의종 2008.04.06 3304
25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바람의종 2008.03.31 3299
24 명절, 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바람의종 2008.04.05 3295
23 우리말의 상상력 2 - 2. 곰신앙과 땅이름 바람의종 2010.02.07 3287
22 농경 생활 용어 3 - 사계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8 32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