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789 추천 수 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칭송'과 '칭찬'의 차이점을 아시나요?


 


  오늘 이순규 씨의 편지를 받았습니다.  제가 '낭떠러지'와 '벼랑'의 차이를 구분하기가 어렵다는 의견에 대해  한마디 언급하신 것입니다.  '낭떠러지'는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일컫는 단어이고 '벼랑'은 아래에서 위를 쳐다 보았을 때 일컫는 단어가 아니냐는 의견이었습니다.  이순규 씨의 의견이  맞는 것 같아서, 여기에 그  의견을 소개했습니다. 이순규 씨께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이음동의어의 차이도 가능한 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예컨대 '칭찬'과 '칭송'이 어떻게 다른가 하는 것 등을 말입니다. 여기에 답을 쓰지요. '칭송'은 여러  사람이, '칭찬'은 한 사람이 하는 행동에 대해 쓰는 단어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바람의종 2008.07.12 3106
270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3182
269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1/2) 바람의종 2009.04.14 3196
268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마니산과 하늘신 바람의종 2009.11.29 3214
267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3218
266 보은단 바람의종 2008.05.08 3226
265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바람의종 2009.05.02 3227
264 몸짓 언어 1 - 눈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4 3242
263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새로움과 관동(關東) 바람의종 2009.12.01 3242
262 우리말의 상상력- 3. 물과 불의 만남 - 생명의 기원 바람의종 2010.02.08 3244
261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바람의종 2008.07.28 3302
260 글의 어원 - "긋다"에서 그리움까지 바람의종 2008.04.22 3306
259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바람의종 2008.04.23 3310
258 문래 바람의종 2008.05.05 3312
257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강과 삶 바람의종 2009.10.02 3312
256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바람의종 2008.07.26 3317
255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3/4) 바람의종 2009.05.09 3318
254 경주와 남산 - 서라벌의 탄생 신화 바람의종 2008.09.09 3321
253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바람의종 2008.09.18 3322
252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3326
251 농경 생활 용어 3 - 사계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8 3329
250 명절, 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바람의종 2008.04.05 3339
249 모어에 대한 인식 2 - 낮은 목소리, 짧은 표현 바람의종 2008.04.24 3341
248 몸짓 언어 2 - 가슴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5 3345
247 우리말 숫자관 - 닫히고 열리기가 골백번 바람의종 2008.04.01 33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