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661 추천 수 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칭송'과 '칭찬'의 차이점을 아시나요?


 


  오늘 이순규 씨의 편지를 받았습니다.  제가 '낭떠러지'와 '벼랑'의 차이를 구분하기가 어렵다는 의견에 대해  한마디 언급하신 것입니다.  '낭떠러지'는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일컫는 단어이고 '벼랑'은 아래에서 위를 쳐다 보았을 때 일컫는 단어가 아니냐는 의견이었습니다.  이순규 씨의 의견이  맞는 것 같아서, 여기에 그  의견을 소개했습니다. 이순규 씨께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이음동의어의 차이도 가능한 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예컨대 '칭찬'과 '칭송'이 어떻게 다른가 하는 것 등을 말입니다. 여기에 답을 쓰지요. '칭송'은 여러  사람이, '칭찬'은 한 사람이 하는 행동에 대해 쓰는 단어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Date2008.09.18 By바람의종 Views3342
    Read More
  2. 낭떠러지, 벼랑 & 칭송, 칭찬

    Date2006.09.14 By風磬 Views4661
    Read More
  3.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Date2008.05.05 By바람의종 Views3090
    Read More
  4.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Date2008.04.06 By바람의종 Views3276
    Read More
  5. 농경 생활 용어 2 - 바람의 고유 이름

    Date2008.04.07 By바람의종 Views3361
    Read More
  6. 농경 생활 용어 3 - 사계의 고유 이름

    Date2008.04.08 By바람의종 Views3265
    Read More
  7. 다방의 '레지'는 영어의 'register'에서 온 말

    Date2006.12.01 By風磬 Views5164
    Read More
  8.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Date2008.09.24 By바람의종 Views3204
    Read More
  9.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Date2006.10.23 By風磬 Views4635
    Read More
  10.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Date2008.05.10 By바람의종 Views3463
    Read More
  11.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Date2006.11.04 By風磬 Views3818
    Read More
  12.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Date2008.09.23 By바람의종 Views3305
    Read More
  13.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Date2008.05.23 By바람의종 Views3355
    Read More
  14. 말의 어원 - "말"이라는 말의 뿌리

    Date2008.04.21 By바람의종 Views3633
    Read More
  15.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Date2008.05.12 By바람의종 Views3949
    Read More
  16.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Date2008.04.03 By바람의종 Views3785
    Read More
  17.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Date2008.04.04 By바람의종 Views3478
    Read More
  18. 명절, 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Date2008.04.05 By바람의종 Views3260
    Read More
  19.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Date2008.04.23 By바람의종 Views3221
    Read More
  20. 모어에 대한 인식 2 - 낮은 목소리, 짧은 표현

    Date2008.04.24 By바람의종 Views3283
    Read More
  21. 모어에 대한 인식 3 - 언어와 민족, 그리고 문화

    Date2008.04.25 By바람의종 Views3935
    Read More
  22. 모주

    Date2008.05.03 By바람의종 Views4149
    Read More
  23.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Date2008.09.18 By바람의종 Views3187
    Read More
  24. 몸짓 언어 1 - 눈으로 하는 말

    Date2008.04.14 By바람의종 Views3186
    Read More
  25. 몸짓 언어 2 - 가슴으로 하는 말

    Date2008.04.15 By바람의종 Views328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