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679 추천 수 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칭송'과 '칭찬'의 차이점을 아시나요?


 


  오늘 이순규 씨의 편지를 받았습니다.  제가 '낭떠러지'와 '벼랑'의 차이를 구분하기가 어렵다는 의견에 대해  한마디 언급하신 것입니다.  '낭떠러지'는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일컫는 단어이고 '벼랑'은 아래에서 위를 쳐다 보았을 때 일컫는 단어가 아니냐는 의견이었습니다.  이순규 씨의 의견이  맞는 것 같아서, 여기에 그  의견을 소개했습니다. 이순규 씨께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이음동의어의 차이도 가능한 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예컨대 '칭찬'과 '칭송'이 어떻게 다른가 하는 것 등을 말입니다. 여기에 답을 쓰지요. '칭송'은 여러  사람이, '칭찬'은 한 사람이 하는 행동에 대해 쓰는 단어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 '학독'이란 단어의 뜻을 아십니까? 風磬 2006.11.10 4522
70 '노들강변'은 '노량진 나루터'를 말하는 고유명사 ...버드나무와 상관없어 風磬 2007.01.18 4556
69 '옛날 옛적 고리짝에'는 '옛날 옛적 고려 적에'의 뜻 風磬 2006.12.13 4560
68 "구실을 삼다"와 "사람 구실을 못한다"에서 風磬 2006.10.25 4568
67 우리말의 상상력 1 - 11. 고움과 원형(圓形) 바람의종 2009.06.30 4600
66 우리말의 상상력- 3. 울 안의 복숭아나무, 기다림의 미학(美學) 바람의종 2010.02.23 4600
65 엄마, 아빠에서 "어이 어이"까지 바람의종 2008.03.19 4605
64 '가물치'는 '검은 고기'라는 뜻 風磬 2007.01.11 4610
63 '집사람'은 본래 '가족'이란 뜻 風磬 2006.11.19 4626
62 '수저'는 '숫가락'과 '젓가락'이 쳐진 말 風磬 2006.09.07 4631
61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風磬 2007.01.20 4637
60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風磬 2006.10.23 4646
59 17. '닭의알'-->'닭이알'-->'달걀'......'달걀'은 토박이말 風磬 2006.10.06 4652
58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風磬 2006.11.07 4662
» 낭떠러지, 벼랑 & 칭송, 칭찬 風磬 2006.09.14 4679
56 '자유'는 일본어에서 온 말이 아니라 중국의 '백화문'에서 온 말 風磬 2006.09.07 4685
55 16. '무지개'는 '물'로 된 '문'이라는 뜻 風磬 2006.10.05 4697
54 '씨름'은 옛말 '힐후다'에서 나온 말 風磬 2006.09.07 4708
53 우리말의 속살 - 임신, 출산 용어 삼신 할머니는 노여움을 푸소서 바람의종 2008.03.16 4716
52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바람의종 2008.07.31 4745
51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風磬 2006.10.31 4758
50 몸짓 언어 3 - 입으로 하는 또다른 말 바람의종 2008.04.16 4771
49 8. '보배'의 '배'는 한자음으로 '패'...즉 '조개 패'를 말합니다 風磬 2006.09.27 4773
48 '양치질'은 양지(버드나무 가지)에 접미사 '질'이 붙은 것 風磬 2006.12.10 4779
47 '곧다'와 '굳다'에서 나온 '꼿꼿하다'와 '꿋꿋하다' 風磬 2006.10.22 47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