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781 추천 수 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칭송'과 '칭찬'의 차이점을 아시나요?


 


  오늘 이순규 씨의 편지를 받았습니다.  제가 '낭떠러지'와 '벼랑'의 차이를 구분하기가 어렵다는 의견에 대해  한마디 언급하신 것입니다.  '낭떠러지'는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일컫는 단어이고 '벼랑'은 아래에서 위를 쳐다 보았을 때 일컫는 단어가 아니냐는 의견이었습니다.  이순규 씨의 의견이  맞는 것 같아서, 여기에 그  의견을 소개했습니다. 이순규 씨께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이음동의어의 차이도 가능한 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예컨대 '칭찬'과 '칭송'이 어떻게 다른가 하는 것 등을 말입니다. 여기에 답을 쓰지요. '칭송'은 여러  사람이, '칭찬'은 한 사람이 하는 행동에 대해 쓰는 단어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No Image 07Sep
    by 風磬
    2006/09/07 by 風磬
    Views 5531 

    '설겆이'에서 '설겆'은 무엇일까?

  2. No Image 07Sep
    by 風磬
    2006/09/07 by 風磬
    Views 5492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3. No Image 07Sep
    by 風磬
    2006/09/07 by 風磬
    Views 4687 

    '수저'는 '숫가락'과 '젓가락'이 쳐진 말

  4. No Image 07Sep
    by 風磬
    2006/09/07 by 風磬
    Views 4775 

    '씨름'은 옛말 '힐후다'에서 나온 말

  5. No Image 07Sep
    by 風磬
    2006/09/07 by 風磬
    Views 4839 

    '자유'는 일본어에서 온 말이 아니라 중국의 '백화문'에서 온 말

  6. No Image 14Sep
    by 風磬
    2006/09/14 by 風磬
    Views 4781 

    낭떠러지, 벼랑 & 칭송, 칭찬

  7. No Image 16Sep
    by 風磬
    2006/09/16 by 風磬
    Views 4971 

    '보신탕'은 이승만 정권 시절에 생긴 말...그 이전에는 '개장국'

  8. No Image 27Sep
    by 風磬
    2006/09/27 by 風磬
    Views 4879 

    8. '보배'의 '배'는 한자음으로 '패'...즉 '조개 패'를 말합니다

  9. No Image 28Sep
    by 風磬
    2006/09/28 by 風磬
    Views 4446 

    9. 남자 생식기 '불X'의 '불'은 무엇을 뜻하는 말로부터 온 것일까요?

  10. No Image 29Sep
    by 風磬
    2006/09/29 by 風磬
    Views 5081 

    10. 가루처럼 내리는 비가 '가랑비'이고 이슬처럼 내리는 비가 '이슬비'

  11. No Image 30Sep
    by 風磬
    2006/09/30 by 風磬
    Views 5249 

    11. '노닐다'는 '놀다 + 닐다의 합성어...'닐다'는 '가다'의 뜻

  12. No Image 01Oct
    by 風磬
    2006/10/01 by 風磬
    Views 5385 

    12. '고양이'를 왜 '나비야!'하고 부를까요?

  13. No Image 02Oct
    by 風磬
    2006/10/02 by 風磬
    Views 5063 

    13. 설화에 의하면 '베짱이'는 베를 짜고 노래를 부르는 곤충.

  14. No Image 03Oct
    by 風磬
    2006/10/03 by 風磬
    Views 5278 

    14. '벽'의 사투리인 '베름빡'에 관하여

  15. No Image 04Oct
    by 風磬
    2006/10/04 by 風磬
    Views 5063 

    15. '방구'(가죽피리)는 고유어가 아니라 한자어

  16. No Image 05Oct
    by 風磬
    2006/10/05 by 風磬
    Views 4766 

    16. '무지개'는 '물'로 된 '문'이라는 뜻

  17. No Image 06Oct
    by 風磬
    2006/10/06 by 風磬
    Views 4720 

    17. '닭의알'-->'닭이알'-->'달걀'......'달걀'은 토박이말

  18. No Image 07Oct
    by 風磬
    2006/10/07 by 風磬
    Views 5602 

    18. '뚜렷하다' '또렷하다'는 원래 '둥글다'는 뜻

  19. No Image 08Oct
    by 風磬
    2006/10/08 by 風磬
    Views 5621 

    19. '물 한 모금 마시고'의 '모금'은 '먹다'와 연관된 단어

  20. No Image 09Oct
    by 風磬
    2006/10/09 by 風磬
    Views 5415 

    20. '만나다'는 '맞나다'에서 온말

  21. No Image 10Oct
    by 風磬
    2006/10/10 by 風磬
    Views 4874 

    21. '꽁치'의 어원에 관한 유력한 설이 있습니다

  22. No Image 11Oct
    by 風磬
    2006/10/11 by 風磬
    Views 4232 

    22. '온갖'은 '수적으로 전부의 종류'란 뜻

  23. No Image 18Oct
    by 風磬
    2006/10/18 by 風磬
    Views 3885 

    23.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24. No Image 19Oct
    by 風磬
    2006/10/19 by 風磬
    Views 3633 

    '눈꼽'의 '꼽'은 원래 '곱'...'곱'은 '기름'이란 뜻

  25. No Image 20Oct
    by 風磬
    2006/10/20 by 風磬
    Views 4056 

    '곡식 한 말을 수확할 수 있는 땅' --> '한 마지기'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