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604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저'는 '숫가락'과 '젓가락'이 쳐진 말


 


  밥을 먹기 위해서는 '수저'가 필요하지요.  여러분은 '수저'를 가져 오라고  하면, 무엇을  가져 오시겠습니까? '숫가락'만  가져 오시겠습니까? '젓가락'만 가져  오시겠습니까? 아니면 '숫가락'과 '젓가락'을 다 가져 오시겠습니까?


 


  물론 '숫가락'과  '젓가락'을  다  가져 오시겠지요.  왜  그러냐구요? '수저'는 '숫가락'의 '수'와 '젓가락'의 '저'가 복합된 단어처럼 보이니까요.  그러니까, '수저'에서  '저'는 '젓가락'의 '저'로 보여서, '수+저'로 분석됨을 금새 알수 있으실 있을 것입니다. '저'는 한자입니다. '대 죽' 밑에 '놈 자'가  붙은 한자 ‘箸’입니다.  그러니까,  '젓가락'은 '저'라는 한자 아래에, '가락'이라는 우리 고유어가 붙어서 된 말입니다.  그 사이에 '시옷'이 들어간 것이지요. '가락'은 '엿가락' 등에 쓰이는 '가락'과 동일한 것입니다.


 


  '숫가락'도 '수 +  시옷 +  가락'으로 분석될 것 같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이것의 '수'는 한자가 아니고  고유어입니다. 즉 '수'가 아니고 '술'입니다.  '한 술 뜬다'의 '술'입니다. 이 '술'에 '시옷'이  붙으면 '수'  밑에 '리을 시옷'받침이 붙은 글자가 되지요. 이 두 개의 받침 중에서 '리을'이 탈락해서 '시옷'만 남게 되어, '숫가락'이 된 것입니다.


 


  그러니까, '수저'도 '수 + 저'로 된 단어가  아니고, '술+저'로 된 단어인데, '지읒' 앞에서 '리 을'이 탈락한 것입니다.



이러한 예는 많습니다. '마지 못해서'도 원래 '말지 못해서'였던 것과 같은 것이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9-14 16: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1 "똥뀐 녀석이 성낸다"는 말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 風磬 2006.11.17 4125
220 '김치'는 한자어...'짠지'는 토박이말 風磬 2006.11.18 4919
219 '집사람'은 본래 '가족'이란 뜻 風磬 2006.11.19 4602
218 '눈 위에서 달리는 말'이 '썰매'의 어원 風磬 2006.11.20 4316
217 '참꽃'은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진달래꽃 風磬 2006.11.21 4397
216 '고주망태'의 '고주'는 원래 토박이말...그 뜻은? 風磬 2006.11.22 5117
215 '학독'은 원래 '확독' 風磬 2006.11.26 7557
214 '꿩 먹고 알 먹고'가 '일석이조'란 의미로 쓰이는 까닭은? 風磬 2006.11.27 4434
213 섬유회사 '코오롱'은 '코리아'+'나이롱' 風磬 2006.11.28 4474
212 '사꾸라'는 일본어...말고기를 뜻합니다 風磬 2006.11.29 4229
211 '마누라'는 원래 '임금이나 왕후를 일컫는 극존칭' 風磬 2006.11.30 4206
210 다방의 '레지'는 영어의 'register'에서 온 말 風磬 2006.12.01 5161
209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風磬 2006.12.04 3685
208 '우두머리'는 옛날에는 비칭이 아니라 평칭이었습니다. 風磬 2006.12.05 4177
207 '딴따라패'는 영어 'tantara'의 음을 빌려 온 것 風磬 2006.12.06 4097
206 '깡패'에는 두가지 어원설이 있습니다. 風磬 2006.12.07 4406
205 처녀들께서는 부끄럼 타지 말고 '총각김치'를 드셔요 風磬 2006.12.08 4862
204 '박쥐'의 '박'은 '눈이 밝다'의 '밝-' 風磬 2006.12.09 4077
203 '양치질'은 양지(버드나무 가지)에 접미사 '질'이 붙은 것 風磬 2006.12.10 4751
202 '양말'의 ‘말’은 한자의 '버선 말'자...여기에 '서양 양'이 붙은 것입니다. 風磬 2006.12.11 4160
201 '거지'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風磬 2006.12.12 5045
200 '옛날 옛적 고리짝에'는 '옛날 옛적 고려 적에'의 뜻 風磬 2006.12.13 4534
199 '감기'는 옛날에 '고뿔'이라고 불렀습니다. 곧 '코에 불(열)이 난다는 뜻 風磬 2006.12.14 4115
198 '미역국을 먹다'는 여러가지 어원이 있습니다. 風磬 2006.12.15 3513
197 '호치키스'는 기관총을 발명한 미국 발명가 이름 風磬 2006.12.17 43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