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516 추천 수 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봄입니다. 아침 밥상을  대할 때, 해묵은 반찬보다는 상큼하게 입맛을 돋우는 봄나물이 있으면 훨씬  입맛이 날 것입니다.
  요즘 나오는 나물로는 달래, 냉이, 씀바귀가 있습니다.


 


  씀바귀는 초등학교 노래에도 나오는데,  맛이 써서 씀바귀가 된 것 같습니다.  민간에서는 주로 식용으로 할 때  봄에 어린잎과 뿌리를 캐어  나물로 무쳐 먹습니다. 약용으로는  진정이나 최면 또는 건위나 식욕 촉진 등에 사용합니다.


  이 씀바귀는 예로 부터 쑥과 더불어 강장식품으로 애용하였는데, 봄에  씀바귀 나물을 많이  먹  으면 여름에 더위를  먹지않는다고 합니다.


  이 글을 읽고 계시는 분  가운데 몇 분이나 이 나물을 아실 지 궁금합니다.  사실 요즘 이 풀을   보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시장에서도 물론 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전북 지방에서는 이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하고, '싸랑부리,  사랑부리, 싸난부리'라고도 합니다. 또는  맛이 쓰니까 '쓴나물'이라고도 부릅니다.


  여러 이름 가운데 '싸랑부리'라는 말은 아주 재미 있습니다.
여기서 '부리'는 중세국어 '불휘'에서 온 말입니다.  앞에 나오는 '싸랑'은 두 가지로 해석되는데, 하나는 '사납다'는 뜻이고, 하나는 '사랑한다'는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읽고 계시는  분의 고향에서는 어떻게 쓰고 있습니까? 쓰디  쓰지만 몸에 좋은 이러한  봄나물이 차츰 사라지는 것은 무척 서운한 일입니다. 고유한 우리  식물을 보존하는 일은 참 필요한 일이라 생각합니다.


 


  재미있는 우리말 어원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9-14 16: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바람의종 2008.07.12 3116
270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3191
269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1/2) 바람의종 2009.04.14 3224
268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마니산과 하늘신 바람의종 2009.11.29 3227
267 보은단 바람의종 2008.05.08 3236
266 몸짓 언어 1 - 눈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4 3242
265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바람의종 2009.05.02 3243
264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3245
263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새로움과 관동(關東) 바람의종 2009.12.01 3251
262 우리말의 상상력- 3. 물과 불의 만남 - 생명의 기원 바람의종 2010.02.08 3251
261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바람의종 2008.07.28 3312
260 글의 어원 - "긋다"에서 그리움까지 바람의종 2008.04.22 3315
259 문래 바람의종 2008.05.05 3319
258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강과 삶 바람의종 2009.10.02 3321
257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바람의종 2008.04.23 3327
256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바람의종 2008.07.26 3331
255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3/4) 바람의종 2009.05.09 3337
254 경주와 남산 - 서라벌의 탄생 신화 바람의종 2008.09.09 3338
253 농경 생활 용어 3 - 사계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8 3339
252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바람의종 2008.09.18 3339
251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3341
250 명절, 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바람의종 2008.04.05 3343
249 몸짓 언어 2 - 가슴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5 3348
248 우리말 숫자관 - 닫히고 열리기가 골백번 바람의종 2008.04.01 3364
247 모어에 대한 인식 2 - 낮은 목소리, 짧은 표현 바람의종 2008.04.24 33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