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558 추천 수 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봄입니다. 아침 밥상을  대할 때, 해묵은 반찬보다는 상큼하게 입맛을 돋우는 봄나물이 있으면 훨씬  입맛이 날 것입니다.
  요즘 나오는 나물로는 달래, 냉이, 씀바귀가 있습니다.


 


  씀바귀는 초등학교 노래에도 나오는데,  맛이 써서 씀바귀가 된 것 같습니다.  민간에서는 주로 식용으로 할 때  봄에 어린잎과 뿌리를 캐어  나물로 무쳐 먹습니다. 약용으로는  진정이나 최면 또는 건위나 식욕 촉진 등에 사용합니다.


  이 씀바귀는 예로 부터 쑥과 더불어 강장식품으로 애용하였는데, 봄에  씀바귀 나물을 많이  먹  으면 여름에 더위를  먹지않는다고 합니다.


  이 글을 읽고 계시는 분  가운데 몇 분이나 이 나물을 아실 지 궁금합니다.  사실 요즘 이 풀을   보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시장에서도 물론 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전북 지방에서는 이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하고, '싸랑부리,  사랑부리, 싸난부리'라고도 합니다. 또는  맛이 쓰니까 '쓴나물'이라고도 부릅니다.


  여러 이름 가운데 '싸랑부리'라는 말은 아주 재미 있습니다.
여기서 '부리'는 중세국어 '불휘'에서 온 말입니다.  앞에 나오는 '싸랑'은 두 가지로 해석되는데, 하나는 '사납다'는 뜻이고, 하나는 '사랑한다'는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읽고 계시는  분의 고향에서는 어떻게 쓰고 있습니까? 쓰디  쓰지만 몸에 좋은 이러한  봄나물이 차츰 사라지는 것은 무척 서운한 일입니다. 고유한 우리  식물을 보존하는 일은 참 필요한 일이라 생각합니다.


 


  재미있는 우리말 어원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9-14 16:30)

  1. '곧다'와 '굳다'에서 나온 '꼿꼿하다'와 '꿋꿋하다'

    Date2006.10.22 By風磬 Views5004
    Read More
  2.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Date2008.08.03 By바람의종 Views5045
    Read More
  3. 처녀들께서는 부끄럼 타지 말고 '총각김치'를 드셔요

    Date2006.12.08 By風磬 Views5046
    Read More
  4. '보신탕'은 이승만 정권 시절에 생긴 말...그 이전에는 '개장국'

    Date2006.09.16 By風磬 Views5058
    Read More
  5. '김치'는 한자어...'짠지'는 토박이말

    Date2006.11.18 By風磬 Views5078
    Read More
  6. 우리말의 상상력- 3. 금 캐는 마동(薯童)

    Date2010.02.22 By바람의종 Views5122
    Read More
  7. 10. 가루처럼 내리는 비가 '가랑비'이고 이슬처럼 내리는 비가 '이슬비'

    Date2006.09.29 By風磬 Views5138
    Read More
  8. 13. 설화에 의하면 '베짱이'는 베를 짜고 노래를 부르는 곤충.

    Date2006.10.02 By風磬 Views5139
    Read More
  9. 15. '방구'(가죽피리)는 고유어가 아니라 한자어

    Date2006.10.04 By風磬 Views5184
    Read More
  10. '거지'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Date2006.12.12 By風磬 Views5256
    Read More
  11. 우리말의 속살 - 요람기의 용어 어화둥둥 금자둥아, 얼싸둥둥 은자둥아

    Date2008.03.16 By바람의종 Views5262
    Read More
  12. '고주망태'의 '고주'는 원래 토박이말...그 뜻은?

    Date2006.11.22 By風磬 Views5290
    Read More
  13. 다방의 '레지'는 영어의 'register'에서 온 말

    Date2006.12.01 By風磬 Views5304
    Read More
  14. 11. '노닐다'는 '놀다 + 닐다의 합성어...'닐다'는 '가다'의 뜻

    Date2006.09.30 By風磬 Views5335
    Read More
  15. 14. '벽'의 사투리인 '베름빡'에 관하여

    Date2006.10.03 By風磬 Views5365
    Read More
  16. 우리말의 상상력- 3. 집과 수풀

    Date2010.02.21 By바람의종 Views5430
    Read More
  17. 20. '만나다'는 '맞나다'에서 온말

    Date2006.10.09 By風磬 Views5484
    Read More
  18. 12. '고양이'를 왜 '나비야!'하고 부를까요?

    Date2006.10.01 By風磬 Views5486
    Read More
  19.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Date2006.09.07 By風磬 Views5558
    Read More
  20. '설겆이'에서 '설겆'은 무엇일까?

    Date2006.09.07 By風磬 Views5618
    Read More
  21. '고독'이란 말을 함부로 말씀하지 마셔요.

    Date2006.12.21 By風磬 Views5633
    Read More
  22. 18. '뚜렷하다' '또렷하다'는 원래 '둥글다'는 뜻

    Date2006.10.07 By風磬 Views5661
    Read More
  23. 19. '물 한 모금 마시고'의 '모금'은 '먹다'와 연관된 단어

    Date2006.10.08 By風磬 Views5669
    Read More
  24. '성가시다'는 원래 '파리하다, 초췌하다'는 뜻

    Date2007.01.12 By風磬 Views6139
    Read More
  25. '얼우-'+'는'(성교하다) --> '얼운'...'어른'은 혼인한 사람

    Date2007.01.21 By風磬 Views656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