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2.03 15:59

수입산? 외국산?

조회 수 1905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수입산? 외국산?

  ‘잔뿌리가 많이 붙어 있으면 국산, 매끈하면 중국산 도라지’ ‘선홍색을 띠며 지방층이 잘고 고루 분포하면 국내산, 검붉으며 지방층이 두껍고 안 고르면 수입산 쇠고기 등심’ ‘과육이 탄력 있으면 국산, 물렁물렁하면 외국산 곶감’….

 설 제수용품 원산지 식별법을 보면 ‘○○산’이란 단어가 많이 나온다. 이때의 ‘-산(産)’은 지역을 나타내는 말 뒤에 붙어 거기서 산출된 물건이란 뜻을 더하는 접미사다. ‘중국산’은 중국에서, ‘미국산’은 미국에서 생산됐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나라나 지역 이름을 붙일 때는 문제가 없지만 뭉뚱그려 국내 혹은 국외에서 생산한 물품을 이를 경우엔 어떻게 써야 할까? 국내에서 생산한 물건을 일컬을 때는 ‘국산’이라고 하면 된다. ‘국내산’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국(내)산’과 대비해 외국에서 생산한 물건을 가리킬 때는 ‘외국산’ 혹은 ‘수입산’이라고 흔히 사용하는데, ‘수입산’은 삼가야 할 표현이다. 다른 나라에서 물품을 사들이는 게 ‘수입’이므로 ‘수입산’이란 말의 조합은 어색하다. “수입산 농산물”은 “수입한 농산물”이라고 표현하는 게 적절하다. ‘-산’을 붙이려면 “외국산 농산물”과 같이 쓰는 게 바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6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2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166
2006 돌팔이 風磬 2006.11.16 8093
2005 물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2.03 8097
2004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8106
2003 진저리 바람의종 2007.03.28 8106
2002 널다리와 너더리 바람의종 2008.07.02 8107
2001 사근사근하다 風磬 2006.12.26 8111
2000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113
1999 과거시제 바람의종 2008.01.14 8117
1998 무꾸리 風磬 2006.11.26 8117
1997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17
1996 발음상의 특징 바람의종 2010.01.15 8119
1995 오랫도리 바람의종 2008.03.22 8120
1994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120
1993 면목 바람의종 2007.07.01 8121
1992 지하철 바람의종 2007.08.21 8123
1991 진검승부 바람의종 2010.05.11 8124
1990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125
1989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125
1988 눈높이 바람의종 2008.04.09 8125
1987 짝태 바람의종 2008.06.13 8126
1986 번갈아 바람의종 2007.05.10 8127
1985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