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2.03 15:59

수입산? 외국산?

조회 수 19027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수입산? 외국산?

  ‘잔뿌리가 많이 붙어 있으면 국산, 매끈하면 중국산 도라지’ ‘선홍색을 띠며 지방층이 잘고 고루 분포하면 국내산, 검붉으며 지방층이 두껍고 안 고르면 수입산 쇠고기 등심’ ‘과육이 탄력 있으면 국산, 물렁물렁하면 외국산 곶감’….

 설 제수용품 원산지 식별법을 보면 ‘○○산’이란 단어가 많이 나온다. 이때의 ‘-산(産)’은 지역을 나타내는 말 뒤에 붙어 거기서 산출된 물건이란 뜻을 더하는 접미사다. ‘중국산’은 중국에서, ‘미국산’은 미국에서 생산됐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나라나 지역 이름을 붙일 때는 문제가 없지만 뭉뚱그려 국내 혹은 국외에서 생산한 물품을 이를 경우엔 어떻게 써야 할까? 국내에서 생산한 물건을 일컬을 때는 ‘국산’이라고 하면 된다. ‘국내산’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국(내)산’과 대비해 외국에서 생산한 물건을 가리킬 때는 ‘외국산’ 혹은 ‘수입산’이라고 흔히 사용하는데, ‘수입산’은 삼가야 할 표현이다. 다른 나라에서 물품을 사들이는 게 ‘수입’이므로 ‘수입산’이란 말의 조합은 어색하다. “수입산 농산물”은 “수입한 농산물”이라고 표현하는 게 적절하다. ‘-산’을 붙이려면 “외국산 농산물”과 같이 쓰는 게 바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1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7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667
2006 숙맥 바람의종 2007.07.27 6625
2005 수훈감 바람의종 2010.05.17 8271
2004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506
2003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29
2002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27
2001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887
2000 수작 바람의종 2010.06.16 10605
1999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118
»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9027
1997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090
1996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322
1995 수어 / 닭어리 風文 2020.07.04 2239
1994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356
1993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52
1992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46
1991 수리수리마수리 바람의종 2008.02.16 10403
1990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8015
1989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54
1988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49
1987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05
1986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793
1985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4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