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1.21 15:14

일절과 일체

조회 수 1540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일절과 일체

“하루에 한 갑을 피우던 사람이 1월 1일을 기해 담배를 ‘一切’ 끊을 수는 없습니다!” 신년 계획이 작심삼일로 끝나지 않으려면 평소 습관을 급격히 변화시킨다든지 현실성 없는 계획을 세워선 안 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이 전문가가 언급한 ‘一切’이란 말은 ‘일체’로 읽어야 할까, ‘일절’로 읽어야 할까? ‘一切’의 ‘切’은 ‘온통 체’로도 쓰고 ‘끊을 절’로도 쓰는데, 이때는 ‘일절’이라 해야 맞다.
‘일체’는 모든 것을 뜻하는 명사고, ‘일절’은 아주·전혀·절대로를 뜻하는 부사다. “사원들의 금연 캠페인에 필요한 일체의 경비를 회사에서 지원한다” “몇 해 전부터 공공장소에서 흡연이 일절 금지됐다”처럼 사용한다. 모든 경비를 회사에서 지원하고, 공공장소에서 담배를 전혀 피울 수 없다는 의미로 쓰였다. 두 단어를 바꿔 쓰면 뜻이 통하지 않는다.
술집 등에서도 “안주 일절” “주류 일절”이라고 붙여 놓은 걸 자주 볼 수 있는데 손님이 주문할 만한 안주와 술 종류가 다 있다는 의미이므로 “안주 일체” “주류 일체”라고 해야 바르다. ‘일절’은 않다·없다 등 부정어와 호응해 사물을 부인하거나 행위를 금지할 때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2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8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761
2710 나그내 file 바람의종 2009.11.03 7936
2709 나까채다, 나꿔채다, 낚아채다 바람의종 2012.07.03 11448
2708 나들목 바람의종 2010.05.29 8946
2707 나들목 / 조롱목 바람의종 2011.11.10 12793
2706 나들목, 분기점 바람의종 2010.05.18 10763
2705 나들이 바람의종 2008.04.20 8834
2704 나락 바람의종 2007.06.09 6755
2703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29
2702 나룻 바람의종 2010.07.20 9651
2701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88
2700 나리 風磬 2006.10.10 17055
2699 나무 이름표 바람의종 2012.04.20 11102
2698 나무노래 바람의종 2008.01.17 7915
2697 나무랬다, 나무랐다 / 바람, 바램 바람의종 2012.08.23 21048
2696 나발과 나팔 바람의종 2010.10.13 11405
2695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6059
2694 나수 좀 드소! file 바람의종 2009.07.28 6062
2693 나아질른지 바람의종 2008.11.01 6018
2692 나어 집! 바람의종 2008.10.29 6191
2691 나의 살던 고향은 바람의종 2009.07.07 8908
2690 나이 바람의종 2009.06.01 6014
2689 나절은 낮 시간의 절반 바람의종 2009.11.10 100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