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1.21 15:14

일절과 일체

조회 수 1535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일절과 일체

“하루에 한 갑을 피우던 사람이 1월 1일을 기해 담배를 ‘一切’ 끊을 수는 없습니다!” 신년 계획이 작심삼일로 끝나지 않으려면 평소 습관을 급격히 변화시킨다든지 현실성 없는 계획을 세워선 안 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이 전문가가 언급한 ‘一切’이란 말은 ‘일체’로 읽어야 할까, ‘일절’로 읽어야 할까? ‘一切’의 ‘切’은 ‘온통 체’로도 쓰고 ‘끊을 절’로도 쓰는데, 이때는 ‘일절’이라 해야 맞다.
‘일체’는 모든 것을 뜻하는 명사고, ‘일절’은 아주·전혀·절대로를 뜻하는 부사다. “사원들의 금연 캠페인에 필요한 일체의 경비를 회사에서 지원한다” “몇 해 전부터 공공장소에서 흡연이 일절 금지됐다”처럼 사용한다. 모든 경비를 회사에서 지원하고, 공공장소에서 담배를 전혀 피울 수 없다는 의미로 쓰였다. 두 단어를 바꿔 쓰면 뜻이 통하지 않는다.
술집 등에서도 “안주 일절” “주류 일절”이라고 붙여 놓은 걸 자주 볼 수 있는데 손님이 주문할 만한 안주와 술 종류가 다 있다는 의미이므로 “안주 일체” “주류 일체”라고 해야 바르다. ‘일절’은 않다·없다 등 부정어와 호응해 사물을 부인하거나 행위를 금지할 때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36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9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835
2710 오리 바람의종 2009.02.03 6614
2709 똥금이 바람의종 2009.05.01 6615
2708 묵어 불어 바람의종 2009.07.14 6617
2707 작명(作名)유감 바람의종 2008.11.12 6618
2706 ~부터 시작 바람의종 2008.10.26 6619
2705 메뚜기 바람의종 2008.01.02 6621
2704 범꼬리 바람의종 2008.03.27 6623
2703 그리고 나서, 그리고는 바람의종 2008.09.07 6623
2702 지름길 바람의종 2007.03.27 6629
2701 부지깽이 風磬 2006.12.20 6631
2700 괴기라미 떡이라미 바람의종 2008.11.20 6632
2699 먹고 잪다 바람의종 2009.07.10 6635
2698 뗑깡 바람의종 2008.02.10 6635
2697 어거지, 억지 바람의종 2008.11.19 6635
2696 작니?, 작으니? 바람의종 2008.09.27 6637
2695 은냇골 이야기 바람의종 2008.05.10 6638
2694 생사여탈권 바람의종 2008.11.03 6641
2693 벵갈말 바람의종 2007.12.27 6643
2692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43
2691 숙맥 바람의종 2007.07.27 6645
2690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646
2689 사날, 나달 바람의종 2009.08.02 66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