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1.21 15:14

일절과 일체

조회 수 1534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일절과 일체

“하루에 한 갑을 피우던 사람이 1월 1일을 기해 담배를 ‘一切’ 끊을 수는 없습니다!” 신년 계획이 작심삼일로 끝나지 않으려면 평소 습관을 급격히 변화시킨다든지 현실성 없는 계획을 세워선 안 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이 전문가가 언급한 ‘一切’이란 말은 ‘일체’로 읽어야 할까, ‘일절’로 읽어야 할까? ‘一切’의 ‘切’은 ‘온통 체’로도 쓰고 ‘끊을 절’로도 쓰는데, 이때는 ‘일절’이라 해야 맞다.
‘일체’는 모든 것을 뜻하는 명사고, ‘일절’은 아주·전혀·절대로를 뜻하는 부사다. “사원들의 금연 캠페인에 필요한 일체의 경비를 회사에서 지원한다” “몇 해 전부터 공공장소에서 흡연이 일절 금지됐다”처럼 사용한다. 모든 경비를 회사에서 지원하고, 공공장소에서 담배를 전혀 피울 수 없다는 의미로 쓰였다. 두 단어를 바꿔 쓰면 뜻이 통하지 않는다.
술집 등에서도 “안주 일절” “주류 일절”이라고 붙여 놓은 걸 자주 볼 수 있는데 손님이 주문할 만한 안주와 술 종류가 다 있다는 의미이므로 “안주 일체” “주류 일체”라고 해야 바르다. ‘일절’은 않다·없다 등 부정어와 호응해 사물을 부인하거나 행위를 금지할 때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6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2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152
3238 대원군 바람의종 2007.06.24 8971
3237 대책 바람의종 2007.06.25 6462
3236 대처승 바람의종 2007.06.25 9732
3235 도락 바람의종 2007.06.26 7477
3234 도구 바람의종 2007.06.26 5840
3233 도량 바람의종 2007.06.27 6940
3232 도탄 바람의종 2007.06.27 5569
3231 동기간 바람의종 2007.06.28 7741
3230 동냥 바람의종 2007.06.28 9777
3229 등용문 바람의종 2007.06.30 6935
3228 막론 바람의종 2007.06.30 6370
3227 말세 바람의종 2007.07.01 8703
3226 면목 바람의종 2007.07.01 8121
3225 명일 바람의종 2007.07.02 11248
3224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598
3223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801
3222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6971
3221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44
3220 무진장 바람의종 2007.07.04 7399
3219 문외한 바람의종 2007.07.05 8783
3218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147
3217 미인계 바람의종 2007.07.06 71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