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074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수많은 사람 중에 그녀밖에 안 보이고, 멀리서도 그녀의 목소리만 들리고, 김태희보다 그녀가 더 사랑스럽다고 한다면? 그의 눈엔 콩깍지가 씐 걸까, 쓰인 걸까, 씌운 걸까.
 ‘콩깍지가 쓰인’ ‘콩깍지가 씌운’이라고 표현해선 안 된다. “그의 눈에 콩깍지가 씐 거군요”라고 답해야 어법에 맞다.이때의 ‘씌다’는 ‘쓰이다’나 ‘씌우다’의 준말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하나의 자동사다. “술을 마시면 이성이 더 매력적으로 보이는 ‘콩깍지가 쓰인다(씌운다)’는 속설은 사실일까?”와 같이 표현하는 건 잘못이다. ‘씐다’로 고쳐야 한다. ‘씌고/씌니/씌면/씌어서’처럼 활용된다. 불필요한 ‘-이-’를 넣어 ‘씌인/씌이다/씌였다’로 활용하는 사람도 많지만 기본형이 ‘씌다’이므로 ‘씐/씌다/씌었다’로 사용하는 게 바르다.
 ‘눈에 콩깍지가 씌다’ 대신 ‘눈에 콩 꺼풀이 씌다’고 표현해도 무방하다. ‘콩 꺼풀’은 한 단어가 아니므로 띄어 써야 한다. 콩깍지든 콩 꺼풀이든 앞이 가려 사물을 제대로 보지 못하다는 의미로 사용하는 동사는 ‘씌다’이다.
  귀신 따위에 접하게 되다는 뜻을 나타낼 때도 ‘씌다’를 쓴다. “귀신이 쓰였다(씌웠다)”처럼 활용해선 안 된다. ‘씌었다’로 바뤄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11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6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625
334 칼럼리스트 바람의종 2010.03.05 7479
333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373
332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38
331 캥기다 바람의종 2011.11.21 13167
330 커닝 바람의종 2009.10.27 7935
329 커브길 바람의종 2010.01.19 8334
328 커피샵 바람의종 2010.10.04 11664
327 켄트지 바람의종 2009.07.23 6514
326 코끼리 바람의종 2008.09.07 7543
325 코펠 바람의종 2010.03.03 12464
324 콧방울, 코빼기 바람의종 2009.04.14 11304
323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407
»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바람의종 2012.11.06 40742
321 쿠사리 바람의종 2010.04.26 12015
320 쿠사리 바람의종 2008.02.19 10924
319 쿠테타, 앰플, 바리케이트, 카바이드 바람의종 2009.06.11 8342
318 쿨 비즈 바람의종 2010.05.07 10716
317 퀘퀘하다, 퀴퀴하다, 쾌쾌하다 바람의종 2012.05.09 34279
316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196
315 크리스마스나무 바람의종 2008.06.02 10127
314 큰 바위 바람의종 2008.02.22 7800
313 큰 소리, 간장하다 風文 2022.10.04 15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