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1.05 14:55

건더기, 건데기

조회 수 1160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건더기, 건데기

국이나 찌개 없이는 밥을 먹지 못하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우리나라 사람은 대부분 국물 있는 음식을 좋아한다. 국의 내용물은 국물과 국물 이외의 것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여기서 문제 하나. 국이나 찌개 등 국물 있는 음식 속에 들어가는 국물 이외의 내용물을 가리켜 ‘건데기’와 ‘건더기’ 중 무엇이라 불러야 할까.
 정답은 ‘건더기’. ‘건더기’를 ‘건데기’라 잘못 쓰는 사람이 적지 않은데 이는 ‘ㅣ모음 역행동화’의 영향 때문이다. ‘ㅣ모음 역행동화’는 앞에 오는 ‘ㅏ, ㅓ, ㅜ, ㅗ’가 뒤에 오는 ‘ㅣ’에 동화돼 ‘ㅐ, ㅔ, ㅞ, ㅙ’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건데기’의 경우 뒤에 오는 ‘기’(ㅣ)의 영향을 받아 앞에 오는 ‘더’(ㅓ)가 ‘데’(ㅔ)로 바뀐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 결과는 대부분 표준말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건더기’는 “말할 건더기가 없다”에서처럼 ‘내세울 만한 일의 내용이나 근거’를 가리키기도 한다. 또 “계약을 성사시키기 위해 노력했지만 나에겐 아무 건더기도 떨어지지 않았다”에서와 같이 ‘노력을 들인 대가로 들어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3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8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788
3062 거마비 바람의종 2007.06.01 10277
3061 거북 바람의종 2008.09.04 6750
3060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27
3059 거시기 바람의종 2011.11.14 10458
3058 거절과 거부 바람의종 2010.11.16 9066
3057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바람의종 2008.04.15 8765
3056 거진 다 왔소! file 바람의종 2010.01.18 9769
3055 거짓말 바람의종 2009.09.06 8276
3054 거짓말, 말, 아닌 글자 風文 2022.09.19 1215
3053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443
3052 거치다와 걸치다 바람의종 2010.03.23 15209
3051 거치장스럽다 바람의종 2012.05.16 8102
3050 걱정과 유감 바람의종 2008.07.10 6376
3049 건강한 가족 / 국경일 한글날 風文 2020.07.18 2192
3048 건넛방, 건넌방 바람의종 2011.12.22 10783
3047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309
3046 건달 바람의종 2007.06.01 8706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12.11.05 11602
3044 걷잡아 / 겉잡아 바람의종 2010.03.19 12228
3043 걸리적거리다 바람의종 2010.08.15 9724
3042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09.12.18 9603
3041 걸맞은, 알맞은 바람의종 2008.04.07 90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