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1.01 16:09

결단과 결딴

조회 수 9252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결단과 결딴

   “1월 1일부로 금연할 거야!” “내년엔 운동을 시작해야지!” 새해를 앞두고 이런저런 ‘결딴’을 내리는 이가 많다. 신중을 기해 결심을 하듯 이 단어를 쓸 때도 주의해야 한다.

 금연·운동 등 세밑에 내리는 이런 중요한 판단을 ‘결딴’이란 말로 표현하는 건 부적절하다. ‘결단’으로 바루어야 의미가 통한다. 결정적 판단을 하거나 단정을 내리는 것 또는 그런 판단이나 단정을 이르는 말은 ‘결단(決斷)’이다. 발음이 [결딴]으로 난다고 ‘결딴’으로 사용해선 안 된다. “사생결딴으로 나서다” 역시 ‘사생결단’으로 고쳐야 맞다.

 ‘결딴’은 어떤 일이나 물건 따위가 아주 망가져 도무지 손쓸 수 없게 된 상태, 살림이 망해 거덜 난 상태를 일컫는 말로 그 쓰임새가 다르다. “경제가 결딴이 날 지경인데도 시장에 대한 믿음은 견고하고 정부 개입에 대한 불신이 큰 게 미국이다”처럼 사용한다. 간혹 ‘결딴’이 올 자리에 ‘결단’을 쓰는 사람도 있지만 두 단어를 혼동해선 안 된다.

 “농가 사육 사향쥐, 풀리면 생태계 절딴” “연이은 폭설로 배농사 절단”과 같이 표현하기도 하지만 ‘결딴’으로 고쳐야 바르다. 절단(切斷)은 자르거나 베어 끊는다는 뜻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5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2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970
1918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9239
1917 오랑캐 風磬 2007.01.19 9238
1916 떠구지 file 바람의종 2010.01.06 9236
1915 기침을 깇다? 바람의종 2010.03.04 9232
1914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230
1913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225
1912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224
1911 이제서야, 그제서야 바람의종 2009.07.08 9224
1910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222
1909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9219
1908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218
1907 명사형 어미 바람의종 2010.03.14 9210
1906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210
1905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9209
1904 꽃 피라 바람의종 2011.11.25 9209
1903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198
1902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97
1901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97
1900 패였다, 채였다 바람의종 2009.07.14 9192
1899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91
1898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89
1897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