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7071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마다 않고, 아랑곳 않고

“행상을 한 할머니는 철수가 바르게 클 수 있도록 궂은일도 마다 않고 뒷바라지를 했다.”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 누군가 먼 길을 마다 않고 한달음에 달려와 자기 일처럼 해주면 얼마나 좋겠는가.”

눈에 자주 띄는 예문이다. 여기서 ‘마다 않고’의 ‘마다’는 ‘마다하다’의 어근이다. ‘마다하다’는 ‘거절하거나 싫다고 하다’를 뜻한다. 어근은 단어를 분석할 때 필요한 개념이다. 용언으로서 단어가 문장에서 제 기능을 다하려면 어근만 가지고선 안 된다. 따라서 ‘마다하지 않고’로 적어야 옳다.

인터넷상의 축약된 언어가 일상 언어에 영향을 미쳐서인지 이처럼 줄여 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무턱대고 말을 잘라 사용해서는 안 된다.

“바깥의 소란에도 아랑곳 않고 영자는 고개를 숙인 채 일에 열중했다”의 ‘아랑곳 않고’는 어떨까. 여기서도 ‘아랑곳하지 않고’로 쓰는 것이 바른 용법이다. 그러나 ‘아랑곳 않고’는 허용될 만하다. ‘마다’와 달리 ‘아랑곳’은 ‘일에 나서서 참견하거나 관심을 두는 일’이란 뜻의 명사다. 또 “그녀는 그 젊은이의 반응 따위는 아랑곳을 않으려는 투였다”처럼 ‘아랑곳’ 뒤에 ‘을’이 생략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못하다, 머지않다, 못지않다’처럼 한 단어로 인정받았으면 모를까 ‘마다않다’는 아직 허용되지 않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98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6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428
2952 딴전보다, -피우다, -부리다 바람의종 2008.01.03 8825
2951 딴죽걸다 바람의종 2008.01.03 9356
2950 복잡다난·미묘 바람의종 2008.01.03 11233
2949 움과 싹 바람의종 2008.01.03 8712
2948 벌레 바람의종 2008.01.03 7579
2947 떡해먹을 집안이다 바람의종 2008.01.04 8299
2946 떼어논 당상 바람의종 2008.01.04 10469
2945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601
2944 자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4 7214
2943 뚱딴지같다 바람의종 2008.01.05 6857
2942 마가 끼다 바람의종 2008.01.05 16692
2941 제맛 바람의종 2008.01.05 7982
2940 할말과 못할말 바람의종 2008.01.05 7826
2939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505
2938 막간을 이용하다 바람의종 2008.01.06 9261
2937 말짱 도루묵이다 바람의종 2008.01.06 11869
2936 모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6 5974
2935 노무족 바람의종 2008.01.06 6480
2934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375
2933 맞장구 치다 바람의종 2008.01.07 12015
2932 먹통 같다 바람의종 2008.01.07 9727
2931 참말과 거짓말 바람의종 2008.01.07 90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