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9.26 14:11

귀향객, 귀성객

조회 수 859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귀향객, 귀성객

명절 고향 길은 으레 막히게 마련이지만 이번 설엔 폭설로 더욱 홍역을 치렀다. 교통 혼잡을 마다하지 않고 명절에 고향을 찾는 것은 무엇보다 부모님을 뵙기 위함이다. 이처럼 부모를 뵙기 위해 객지에서 고향으로 가는 것을 귀성(歸省)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성(省)’은 ‘살필 성’자로 부모를 찾아뵙는 것을 뜻한다. 귀성을 하는 사람은 귀성객(歸省客)이라고 부른다.

귀성객 대신 귀향객(歸鄕客)이란 말을 쓰기도 하는데 ‘귀향’은 ‘귀성’과 다르다. ‘귀향’은 고향으로 돌아와 정착하는 것을 뜻한다. 주거와 생활 터전을 완전히 옮기는 것이다. “군 복무를 마치고 귀향했다” “서울을 떠나 귀향한 지 어느새 일 년이 됐다” 등처럼 쓰인다.

이에 비해 ‘귀성’은 명절 등에 일시적으로 부모님을 찾아뵙는 것을 가리킨다. 잠시 고향에 다녀오는 것이지 주거와 생활 터전을 옮기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명절에 고향으로 가는 사람들에겐 ‘귀향객’보다 ‘귀성객’이란 말이 적절하다. 한자 성어이기 때문에 완전히 안 된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귀향객’은 사전에도 없는 말이다. ‘귀향 길’도 ‘귀성 길’이라 불러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71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2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126
2864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45
2863 존맛 風文 2023.06.28 1495
2862 족두리꽃 바람의종 2008.03.19 7336
2861 조카 바람의종 2007.03.26 11107
2860 조종, 조정 바람의종 2010.04.17 10954
2859 조족지혈 바람의종 2007.12.21 12527
2858 조조할인 바람의종 2010.08.17 16298
2857 조장 바람의종 2007.08.18 7103
2856 조이·조시 바람의종 2008.07.17 6477
2855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200
2854 조우, 해우, 만남 바람의종 2009.07.27 12762
2853 조언과 충고 바람의종 2012.05.22 9551
2852 조앙가 file 바람의종 2009.09.23 7746
2851 조사됐다 바람의종 2010.04.25 8376
2850 조사 ‘밖에’ 뒤엔 부정하는 말 바람의종 2009.11.24 9664
2849 조바심하다 바람의종 2007.03.24 6668
2848 조리다와 졸이다 바람의종 2010.10.04 10592
2847 조리다, 졸이다 바람의종 2012.11.06 15338
2846 조그만한, 자그만한 바람의종 2010.03.26 10877
2845 조개껍질 바람의종 2010.07.23 10452
2844 조개 바람의종 2013.02.05 19821
2843 조강지처 바람의종 2007.12.21 104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