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9.26 14:11

귀향객, 귀성객

조회 수 8619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귀향객, 귀성객

명절 고향 길은 으레 막히게 마련이지만 이번 설엔 폭설로 더욱 홍역을 치렀다. 교통 혼잡을 마다하지 않고 명절에 고향을 찾는 것은 무엇보다 부모님을 뵙기 위함이다. 이처럼 부모를 뵙기 위해 객지에서 고향으로 가는 것을 귀성(歸省)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성(省)’은 ‘살필 성’자로 부모를 찾아뵙는 것을 뜻한다. 귀성을 하는 사람은 귀성객(歸省客)이라고 부른다.

귀성객 대신 귀향객(歸鄕客)이란 말을 쓰기도 하는데 ‘귀향’은 ‘귀성’과 다르다. ‘귀향’은 고향으로 돌아와 정착하는 것을 뜻한다. 주거와 생활 터전을 완전히 옮기는 것이다. “군 복무를 마치고 귀향했다” “서울을 떠나 귀향한 지 어느새 일 년이 됐다” 등처럼 쓰인다.

이에 비해 ‘귀성’은 명절 등에 일시적으로 부모님을 찾아뵙는 것을 가리킨다. 잠시 고향에 다녀오는 것이지 주거와 생활 터전을 옮기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명절에 고향으로 가는 사람들에겐 ‘귀향객’보다 ‘귀성객’이란 말이 적절하다. 한자 성어이기 때문에 완전히 안 된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귀향객’은 사전에도 없는 말이다. ‘귀향 길’도 ‘귀성 길’이라 불러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1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80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29
1676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306
1675 사면초가 바람의종 2007.11.07 8023
1674 사뭇 / 자못 바람의종 2010.03.12 9807
1673 사발통문 바람의종 2007.11.08 9035
1672 사변 바람의종 2008.05.11 5977
1671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708
1670 사설을 늘어놓다 바람의종 2008.01.15 7449
1669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33
1668 사슴 바람의종 2008.10.01 7144
1667 사시미, 스시, 스키다시, 락교, 와사비 바람의종 2012.09.04 11264
1666 사십구재 바람의종 2007.11.09 6996
1665 사열 받다, 사사 받다, 자문 받다 바람의종 2009.05.26 12016
1664 사위스럽다 바람의종 2010.11.11 12909
1663 사위질빵 바람의종 2008.03.10 5727
1662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866
1661 사이다 바람의종 2010.06.16 11648
1660 사이드카 바람의종 2009.07.24 7949
1659 사이비 바람의종 2007.07.18 7340
1658 사이소예 바람의종 2008.09.02 6076
1657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2.10.15 10580
1656 사이시옷 적기 바람의종 2010.01.08 7235
1655 사인 바람의종 2010.03.19 112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