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9.19 14:27

호함지다

조회 수 857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호함지다

한라산과 백두산에 눈이 내렸다. 같은 눈을 보고도 남북은 표현을 달리한다. 남한 말 ‘탐스럽다’에 해당하는 북한 말 ‘호함지다’가 그 경우다. “앞날을 예측할 수 없지만 호함지게 내린 첫눈을 보는 순간 용기가 났다” 식으로 쓰인다. 이 예문에선 ‘호함지다’가 복합 의미(흐뭇하다+탐스럽다:흐뭇할 만큼 탐스럽다)를 담고 있지만 문장에 따라 남한 말 ‘탐스럽다’와 ‘흐뭇하다’의 (의미상) 경계를 넘나들면서 호환되지 못하는 특성이 있다.

“즐겁던 일은 한바탕 호함진(흐뭇한) 웃음 끝에 흔히 잊어지고 마는데 어려운 나날들에 맺힌 사연은 기억의 쪽문을 열고…괴여 오르곤 한다.”-김철 ‘천지의 물줄기’
“가을이 됐으니 호함진(탐스러운) 열매가 주렁주렁 열려야 할 텐데 웬일인지 쭉정이 농사뿐이다.”-김철 ‘뻐꾸기는 철없이 운다’

‘호함지다’를 더 살펴보니 ‘값지다·기름지다·멋지다’ 등이 떠오른다. ‘사물이 어떤 성질이나 모양이다’라는 것을 강조할 때 남한에선 명사에 접사 ‘-지다’를 흔히 붙여 사용한다. ‘호함지다’ 또한 ‘호함+지다’ 구성일 것 같은데 북한 사전엔 ‘호함’과 ‘-지다’를 따로 분류해 놓지 않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0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6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675
2952 고육지책, 궁여지책 바람의종 2012.09.28 11668
2951 눈발, 빗발, 화장발 바람의종 2012.09.27 8926
2950 쪼달리다, 쪼들리다 / 바둥바둥, 바동바동 바람의종 2012.09.27 13846
2949 일찌기, 일찍이 / 더우기, 더욱이 바람의종 2012.09.26 31430
2948 귀향객, 귀성객 바람의종 2012.09.26 8573
2947 그런 식으로 / 그런식으로 바람의종 2012.09.25 13680
2946 '숫'을 쓰는 동물 바람의종 2012.09.25 9983
2945 밤새 / 밤새워 바람의종 2012.09.24 10742
2944 안전성 / 안정성 바람의종 2012.09.24 16233
2943 뒤처지다,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9.21 12683
2942 눈이 많이 왔대/데 바람의종 2012.09.20 9082
2941 여간 쉽지 않다 바람의종 2012.09.20 9742
»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2.09.19 8570
2939 '꼴'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9.19 15500
2938 내일 뵈요, 내일 봬요 바람의종 2012.09.14 14619
2937 '구정'은 일본식 표기 바람의종 2012.09.13 11664
2936 그림의 떡, 그림에 떡 바람의종 2012.09.13 17279
2935 바람의종 2012.09.12 8980
2934 널브러져/널부러져/너브러져/너부러져 바람의종 2012.09.12 27904
2933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671
2932 계좌, 구좌 바람의종 2012.09.11 9927
2931 어명이요!, 어명이오! 바람의종 2012.09.06 106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