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9.19 14:27

호함지다

조회 수 868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호함지다

한라산과 백두산에 눈이 내렸다. 같은 눈을 보고도 남북은 표현을 달리한다. 남한 말 ‘탐스럽다’에 해당하는 북한 말 ‘호함지다’가 그 경우다. “앞날을 예측할 수 없지만 호함지게 내린 첫눈을 보는 순간 용기가 났다” 식으로 쓰인다. 이 예문에선 ‘호함지다’가 복합 의미(흐뭇하다+탐스럽다:흐뭇할 만큼 탐스럽다)를 담고 있지만 문장에 따라 남한 말 ‘탐스럽다’와 ‘흐뭇하다’의 (의미상) 경계를 넘나들면서 호환되지 못하는 특성이 있다.

“즐겁던 일은 한바탕 호함진(흐뭇한) 웃음 끝에 흔히 잊어지고 마는데 어려운 나날들에 맺힌 사연은 기억의 쪽문을 열고…괴여 오르곤 한다.”-김철 ‘천지의 물줄기’
“가을이 됐으니 호함진(탐스러운) 열매가 주렁주렁 열려야 할 텐데 웬일인지 쭉정이 농사뿐이다.”-김철 ‘뻐꾸기는 철없이 운다’

‘호함지다’를 더 살펴보니 ‘값지다·기름지다·멋지다’ 등이 떠오른다. ‘사물이 어떤 성질이나 모양이다’라는 것을 강조할 때 남한에선 명사에 접사 ‘-지다’를 흔히 붙여 사용한다. ‘호함지다’ 또한 ‘호함+지다’ 구성일 것 같은데 북한 사전엔 ‘호함’과 ‘-지다’를 따로 분류해 놓지 않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94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4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334
1632 천덕꾸러기 바람의종 2007.05.23 8556
1631 여부(與否) 바람의종 2010.01.20 8555
1630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52
1629 전철련 바람의종 2010.03.15 8550
1628 노력했지마는 / 노력했지만은 바람의종 2012.06.14 8548
1627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546
1626 담다 / 담그다 바람의종 2012.03.02 8545
1625 연패(連敗) / 연패(連覇) 바람의종 2010.03.12 8545
1624 노동1호 바람의종 2007.06.11 8542
1623 봉숭아, 복숭아 바람의종 2008.09.18 8538
1622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536
1621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35
1620 놉샹이 바람의종 2009.12.01 8534
1619 해오라기난초 바람의종 2008.04.05 8531
1618 설레다 바람의종 2010.08.05 8527
1617 단골집 風磬 2006.11.06 8527
1616 X세대 바람의종 2008.02.20 8526
1615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521
1614 홀아비바람꽃 바람의종 2008.05.25 8516
1613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7.12.17 8515
1612 절거리 바람의종 2009.10.01 8514
1611 바람의종 2007.03.31 85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