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9.13 14:55

'구정'은 일본식 표기

조회 수 11775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구정'은 일본식 표기

한일병합(1910년)으로 일본 식민통치가 본격화하면서 일제는 우리 문화를 말살하기 위해 우리 명절을 부정하고 일본 명절만 쇠라고 강요했다. 특히 우리 설을 ‘구정’(옛날 설)이라고 깎아내리면서 일본 설인 ‘신정’(양력 1월 1일)을 쇠라고 강요했다. 이때부터 ‘신정(新正)’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구정(舊正)’이라는 일본 말이 쓰이기 시작했다. 당시 일제의 강압에 맞서 “양력설을 쇠면 친일매국, 음력설을 쇠면 반일애국”이란 구호를 외칠 만큼 설 명절에 대한 우리의 의식은 깊었다고 한다. 일찍부터 서양 문물 도입에 적극적이었던 일본은 메이지(明治)유신 이후 음력을 버리고 양력만 사용해 왔다. 지금도 일본은 양력설을 쇠고 있다. ‘구정’은 일본식 한자어로, 일제가 우리 설을 격하하기 위해 사용한 말이다. 따라서 가급적 ‘구정’이라 부르지 말고 ‘설’이라고 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1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7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699
3414 단추를 꿰다, 끼우다, 채우다 바람의종 2010.05.31 27675
3413 본때없다, 본데없다, 본떼없다, 본대없다 바람의종 2010.10.18 27095
3412 부화가 치밀다, 부아가 치밀다 / 화병, 홧병 바람의종 2010.05.08 26824
3411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6285
3410 자처하다, 자청하다 바람의종 2012.12.04 26251
3409 새 학기 단상 윤안젤로 2013.04.19 26002
3408 자잘못을 가리다 바람의종 2012.12.11 25999
3407 '받다'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18 25601
3406 모자르다, 모자라다, 모잘라, 모자른, 모잘른 바람의종 2010.06.01 25319
3405 휘거 風文 2014.12.05 25152
3404 차단스 바람의종 2008.02.19 24968
3403 오살할 놈 바람의종 2008.02.29 24608
3402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483
3401 맞벌이, 외벌이, 홑벌이 바람의종 2012.11.23 24404
3400 암닭, 암탉 / 닭 벼슬 바람의종 2010.06.16 24379
3399 온몸이 노근하고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12.12.12 24299
3398 나, 본인, 저 윤안젤로 2013.04.03 24266
3397 레스쿨제라블, 나발질 風文 2014.12.29 24258
3396 앎, 알음, 만듬/만듦, 베품/베풂 바람의종 2012.01.08 24236
3395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2.12.21 24212
3394 "잘"과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27 23922
3393 박물관은 살아있다 2 바람의종 2012.12.10 238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