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68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시는 짧지만 사물에 가장 걸맞은 말로 쓰여 그 어떤 글보다 긴 여운을 남긴다. 그러나 시를 옮기는 과정에서 이러한 감동이 퇴색되기 일쑤다. 김춘수의 ‘꽃’에 나오는 시구 ‘알맞은’이 대표적이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는/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의 ‘알맞는’은 ‘알맞은’으로 고쳐야 한다. ‘알맞다’는 적당한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이므로 관형형 어미 ‘-은’과 결합한다. 동사에 붙어 움직임의 진행을 나타내는 어미 ‘-는’이 올 수 없다. 형용사 ‘좋다’를 ‘좋는’으로 활용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알맞다’와 더불어 자주 틀리는 ‘걸맞다’도 형용사이기 때문에 ‘걸맞은’으로 활용해야 한다. “시인은 사물의 존재에 가장 걸맞는 언어를 찾아내 우리 앞에 펼쳐 놓는다”처럼 사용해선 안 된다. ‘걸맞은’이라고 바뤄야 한다.

‘알맞은’ ‘걸맞은’을 ‘알맞는’ ‘걸맞는’으로 잘못 쓰는 이유는 뒤에 붙는 ‘맞다’란 말에 기인한다. ‘맞다’가 동사여서 ‘알맞다’ ‘걸맞다’ 역시 동사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나 이들 단어는 형용사임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62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1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139
2226 암울과 우울 바람의종 2011.11.27 7794
2225 암닭, 암탉 / 닭 벼슬 바람의종 2010.06.16 24340
2224 앎, 알음, 만듬/만듦, 베품/베풂 바람의종 2012.01.08 24195
2223 알토란 같다 바람의종 2008.01.24 15875
2222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9942
2221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216
2220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49
2219 알은척 / 아는 척 바람의종 2009.02.07 10828
2218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283
2217 알아야 면장한다. 바람의종 2009.06.15 6785
2216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454
2215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434
2214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20
»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685
2212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097
2211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087
2210 않는, 않은 바람의종 2008.09.29 15477
2209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17
2208 안하다, 못하다 바람의종 2009.02.10 17690
2207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35
2206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492
2205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6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