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74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시는 짧지만 사물에 가장 걸맞은 말로 쓰여 그 어떤 글보다 긴 여운을 남긴다. 그러나 시를 옮기는 과정에서 이러한 감동이 퇴색되기 일쑤다. 김춘수의 ‘꽃’에 나오는 시구 ‘알맞은’이 대표적이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는/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의 ‘알맞는’은 ‘알맞은’으로 고쳐야 한다. ‘알맞다’는 적당한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이므로 관형형 어미 ‘-은’과 결합한다. 동사에 붙어 움직임의 진행을 나타내는 어미 ‘-는’이 올 수 없다. 형용사 ‘좋다’를 ‘좋는’으로 활용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알맞다’와 더불어 자주 틀리는 ‘걸맞다’도 형용사이기 때문에 ‘걸맞은’으로 활용해야 한다. “시인은 사물의 존재에 가장 걸맞는 언어를 찾아내 우리 앞에 펼쳐 놓는다”처럼 사용해선 안 된다. ‘걸맞은’이라고 바뤄야 한다.

‘알맞은’ ‘걸맞은’을 ‘알맞는’ ‘걸맞는’으로 잘못 쓰는 이유는 뒤에 붙는 ‘맞다’란 말에 기인한다. ‘맞다’가 동사여서 ‘알맞다’ ‘걸맞다’ 역시 동사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나 이들 단어는 형용사임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6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20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144
2930 과태료, 벌금, 보상, 배상 바람의종 2008.10.27 7860
2929 관자놀이 바람의종 2007.05.02 11316
2928 관해/대하여/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120
2927 관형사 바람의종 2010.02.09 10468
2926 괄괄하다 風磬 2006.09.29 14566
2925 괄세, 섭하다 바람의종 2010.02.21 12372
2924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559
2923 광대수염 바람의종 2008.02.13 8648
2922 광안리 바람의종 2012.04.19 12343
2921 괘씸죄 바람의종 2008.03.31 7907
2920 괜스럽다 바람의종 2010.08.05 9351
2919 괭이눈 바람의종 2008.03.01 6595
2918 괴기라미 떡이라미 바람의종 2008.11.20 6632
2917 괴나리봇짐, 쇠털, 괴발개발 바람의종 2008.05.23 9255
2916 괴다와 사랑하다 바람의종 2008.02.02 9860
2915 괴발개발(개발새발) 風磬 2006.09.14 21241
2914 교과서 바람의종 2009.02.20 5504
2913 교복물림 바람의종 2008.07.03 6823
2912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388
2911 교육과 새말 바람의종 2007.12.30 6908
2910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330
2909 교환 / 교체 바람의종 2010.10.04 131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