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76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시는 짧지만 사물에 가장 걸맞은 말로 쓰여 그 어떤 글보다 긴 여운을 남긴다. 그러나 시를 옮기는 과정에서 이러한 감동이 퇴색되기 일쑤다. 김춘수의 ‘꽃’에 나오는 시구 ‘알맞은’이 대표적이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는/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의 ‘알맞는’은 ‘알맞은’으로 고쳐야 한다. ‘알맞다’는 적당한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이므로 관형형 어미 ‘-은’과 결합한다. 동사에 붙어 움직임의 진행을 나타내는 어미 ‘-는’이 올 수 없다. 형용사 ‘좋다’를 ‘좋는’으로 활용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알맞다’와 더불어 자주 틀리는 ‘걸맞다’도 형용사이기 때문에 ‘걸맞은’으로 활용해야 한다. “시인은 사물의 존재에 가장 걸맞는 언어를 찾아내 우리 앞에 펼쳐 놓는다”처럼 사용해선 안 된다. ‘걸맞은’이라고 바뤄야 한다.

‘알맞은’ ‘걸맞은’을 ‘알맞는’ ‘걸맞는’으로 잘못 쓰는 이유는 뒤에 붙는 ‘맞다’란 말에 기인한다. ‘맞다’가 동사여서 ‘알맞다’ ‘걸맞다’ 역시 동사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나 이들 단어는 형용사임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3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90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773
2952 하릴없이, 할 일 없이 바람의종 2012.10.30 13517
2951 어기여차 바람의종 2012.10.30 11902
2950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823
2949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258
2948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2.10.15 10646
2947 드론 바람의종 2012.10.15 12311
2946 응큼하다 바람의종 2012.10.09 13430
2945 진면목 바람의종 2012.10.09 10443
2944 이었다, 이였다 바람의종 2012.10.08 30325
2943 전년도, 회계연도 바람의종 2012.10.08 12450
2942 마다 않고, 아랑곳 않고 바람의종 2012.10.05 17049
2941 개쓰레기 바람의종 2012.10.05 12294
2940 북녘말 바람의종 2012.10.04 12239
2939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12.10.04 8817
2938 팔염치, 파렴치 / 몰염치, 염치, 렴치 바람의종 2012.10.02 16183
2937 ~도 불구하고 바람의종 2012.10.02 11645
2936 고육지책, 궁여지책 바람의종 2012.09.28 11764
2935 퍼드레기 바람의종 2012.09.28 12936
2934 눈발, 빗발, 화장발 바람의종 2012.09.27 9024
2933 쪼달리다, 쪼들리다 / 바둥바둥, 바동바동 바람의종 2012.09.27 13984
2932 일찌기, 일찍이 / 더우기, 더욱이 바람의종 2012.09.26 31709
2931 귀향객, 귀성객 바람의종 2012.09.26 86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