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8.21 13:31

과욋돈

조회 수 8996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과욋돈

명절에는 아이나 어른이나 설레고 들뜨기는 마찬가지다. 맛있는 음식이 많을 뿐 아니라 반가운 얼굴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명절이면 아이들은 어른들이 주는 용돈을 챙기는 재미가 있기도 하다. 연세 드신 어른들 역시 자식들이 주는 용돈으로 조금은 여유가 생기기도 한다. 이처럼 정해진 수입이나 기준·정도를 넘어 생기는 돈을 무엇이라 할까. ‘가욋돈’이다. 그러나 ‘가욋돈’을 ‘과욋돈’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과외’와 ‘가외’의 뜻을 정확히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과외’는 ‘정해진 학과 과정이나 근무 시간 이외’를 의미하는 낱말로 “수학 실력이 부족해 선생님께 방과 후 과외 강의를 들었다” “개인적인 일은 근무 시간에 하지 말고 과외로 시간을 내서 하십시오”와 같이 쓰인다. ‘과외 열풍’ ‘과외 비용’에서처럼 학교에서 정해진 교과 과정 외에 비공식적으로 하는 수업을 의미하기도 한다. ‘가외’는 “이번 달은 명절이 끼어 예상 외로 가욋돈이 많이 나갔다” “축구스타 베컴은 연봉보다 광고 출연료와 같은 가외 수입이 더 많다”에서와 같이 ‘일정한 기준이나 정도 밖’을 의미할 때 쓰인다.

‘과욋돈’이라고 하면 정식으로 사전에 등록된 단어는 아니지만 과외에 들어가는 비용이라는 뜻이 된다. 원래 생기는 수입 외에 따로 들어오는 돈을 의미할 땐 ‘일정한 기준이나 정도 밖’을 뜻하는 ‘가외’를 써 ‘가욋돈’이라 해야 바른 표현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6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2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943
2952 하릴없이, 할 일 없이 바람의종 2012.10.30 13613
2951 어기여차 바람의종 2012.10.30 11909
2950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858
2949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294
2948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2.10.15 10683
2947 드론 바람의종 2012.10.15 12350
2946 응큼하다 바람의종 2012.10.09 13461
2945 진면목 바람의종 2012.10.09 10481
2944 이었다, 이였다 바람의종 2012.10.08 30435
2943 전년도, 회계연도 바람의종 2012.10.08 12493
2942 마다 않고, 아랑곳 않고 바람의종 2012.10.05 17101
2941 개쓰레기 바람의종 2012.10.05 12338
2940 북녘말 바람의종 2012.10.04 12266
2939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12.10.04 8858
2938 팔염치, 파렴치 / 몰염치, 염치, 렴치 바람의종 2012.10.02 16287
2937 ~도 불구하고 바람의종 2012.10.02 11723
2936 고육지책, 궁여지책 바람의종 2012.09.28 11821
2935 퍼드레기 바람의종 2012.09.28 13017
2934 눈발, 빗발, 화장발 바람의종 2012.09.27 9063
2933 쪼달리다, 쪼들리다 / 바둥바둥, 바동바동 바람의종 2012.09.27 14044
2932 일찌기, 일찍이 / 더우기, 더욱이 바람의종 2012.09.26 31797
2931 귀향객, 귀성객 바람의종 2012.09.26 86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