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8.21 13:31

과욋돈

조회 수 8958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과욋돈

명절에는 아이나 어른이나 설레고 들뜨기는 마찬가지다. 맛있는 음식이 많을 뿐 아니라 반가운 얼굴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명절이면 아이들은 어른들이 주는 용돈을 챙기는 재미가 있기도 하다. 연세 드신 어른들 역시 자식들이 주는 용돈으로 조금은 여유가 생기기도 한다. 이처럼 정해진 수입이나 기준·정도를 넘어 생기는 돈을 무엇이라 할까. ‘가욋돈’이다. 그러나 ‘가욋돈’을 ‘과욋돈’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과외’와 ‘가외’의 뜻을 정확히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과외’는 ‘정해진 학과 과정이나 근무 시간 이외’를 의미하는 낱말로 “수학 실력이 부족해 선생님께 방과 후 과외 강의를 들었다” “개인적인 일은 근무 시간에 하지 말고 과외로 시간을 내서 하십시오”와 같이 쓰인다. ‘과외 열풍’ ‘과외 비용’에서처럼 학교에서 정해진 교과 과정 외에 비공식적으로 하는 수업을 의미하기도 한다. ‘가외’는 “이번 달은 명절이 끼어 예상 외로 가욋돈이 많이 나갔다” “축구스타 베컴은 연봉보다 광고 출연료와 같은 가외 수입이 더 많다”에서와 같이 ‘일정한 기준이나 정도 밖’을 의미할 때 쓰인다.

‘과욋돈’이라고 하면 정식으로 사전에 등록된 단어는 아니지만 과외에 들어가는 비용이라는 뜻이 된다. 원래 생기는 수입 외에 따로 들어오는 돈을 의미할 땐 ‘일정한 기준이나 정도 밖’을 뜻하는 ‘가외’를 써 ‘가욋돈’이라 해야 바른 표현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8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50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464
1632 연패(連敗) / 연패(連覇) 바람의종 2010.03.12 8539
1631 난장판 바람의종 2007.05.08 8537
1630 파랗다와 푸르다 윤영환 2008.09.03 8537
1629 놉샹이 바람의종 2009.12.01 8534
1628 노력했지마는 / 노력했지만은 바람의종 2012.06.14 8531
1627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27
1626 천덕꾸러기 바람의종 2007.05.23 8525
1625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518
1624 단골집 風磬 2006.11.06 8514
1623 봉숭아, 복숭아 바람의종 2008.09.18 8511
1622 설레다 바람의종 2010.08.05 8510
1621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7.12.17 8510
1620 절거리 바람의종 2009.10.01 8507
1619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506
1618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04
1617 촌수 바람의종 2008.03.16 8502
1616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500
1615 노동1호 바람의종 2007.06.11 8493
1614 이모작 바람의종 2009.10.02 8492
1613 들여마시다 바람의종 2010.01.28 8492
1612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489
1611 단음절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2.05 84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