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8.21 13:29

몸 달은

조회 수 706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몸 달은

“내가 읽은 책은 정말 흥미로워. 너도 한번 읽어봐.” “내가 읽는 책은 정말 흥미로워. 너도 한번 읽어봐.” 이 두 예문을 구별 짓는 근본적인 차이는 무얼까. 시제다. 앞 문장은 과거를 나타내고 뒤 문장은 현재를 나타낸다. 예문에서 상이한 부분은 ‘읽은’과 ‘읽는’이므로 여기에서 그 차이가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말의 동사 어간(‘보다, 보니, 보고’의 ‘보-’처럼 활용할 때 변하지 않는 부분)에 ‘-은’이나 ‘-ㄴ’을 붙이면 과거시제의 관형사형을 만들 수 있다. 관형사형이란 ‘읽은 책, 읽는 책’처럼 뒤에 오는 명사, 대명사, 수사 등을 꾸밀 수 있는 형태를 말한다. 둘 중 ‘-은’은 ‘먹은’ ‘웃은’ ‘젖은’처럼 앞에 오는 어간이 자음일 때 쓰고, ‘-ㄴ’은 ‘(잠을) 잔, (총을) 쏜, (홈런을) 친’처럼 어간이 모음일 때 사용한다.

하지만 예외 없는 법칙은 없는 법. ‘이슬람 펀드 잡아라, 몸 달은 금융계’ ‘30년 살은 개’ ‘5㎝나 줄은 허리둘레’ 의 경우를 보자. ‘달은, 살은, 줄은’은 위 법칙에는 들어맞는다. 어간 ‘달-, 살-, 줄-’이 모두 자음으로 끝나고 어미가 ‘은’이니까. 그러나 이렇게 쓰면 맞춤법에 어긋난다. 어간이 ㄹ로 끝나는 경우는 ㄹ이 자음이지만 ‘-은’이 아니라 ‘-ㄴ’을 쓰도록 규정돼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때는 ‘몸 단 금융계’ ‘30년 산 개’ ‘5㎝나 준 허리둘레’라고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9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902
2490 구설수 바람의종 2008.10.11 7081
2489 덤터기 쓰다 바람의종 2007.12.31 7082
2488 민들레 홀씨 바람의종 2009.07.16 7082
2487 보모 바람의종 2007.07.13 7085
2486 자리 매김 바람의종 2008.10.13 7085
2485 렉카 바람의종 2009.05.25 7086
2484 계간 바람의종 2007.06.02 7086
2483 돈놀이 바람의종 2009.03.01 7087
2482 솔새 바람의종 2009.07.06 7087
2481 십팔번, 가라오케 바람의종 2008.09.29 7088
2480 차별1 바람의종 2008.05.27 7094
2479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096
2478 누겁다/ 서겁다 바람의종 2008.02.22 7098
2477 산오이풀 바람의종 2008.04.07 7102
2476 살사리꽃 바람의종 2009.09.07 7104
2475 터울 바람의종 2008.11.11 7106
2474 보게‘마씀’ 바람의종 2008.08.27 7107
2473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115
2472 산림욕 / 삼림욕 바람의종 2008.08.21 7116
2471 뻐꾸기 바람의종 2009.03.24 7118
2470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118
2469 선팅, 로터리 바람의종 2009.07.06 71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