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8.21 13:29

몸 달은

조회 수 707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몸 달은

“내가 읽은 책은 정말 흥미로워. 너도 한번 읽어봐.” “내가 읽는 책은 정말 흥미로워. 너도 한번 읽어봐.” 이 두 예문을 구별 짓는 근본적인 차이는 무얼까. 시제다. 앞 문장은 과거를 나타내고 뒤 문장은 현재를 나타낸다. 예문에서 상이한 부분은 ‘읽은’과 ‘읽는’이므로 여기에서 그 차이가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말의 동사 어간(‘보다, 보니, 보고’의 ‘보-’처럼 활용할 때 변하지 않는 부분)에 ‘-은’이나 ‘-ㄴ’을 붙이면 과거시제의 관형사형을 만들 수 있다. 관형사형이란 ‘읽은 책, 읽는 책’처럼 뒤에 오는 명사, 대명사, 수사 등을 꾸밀 수 있는 형태를 말한다. 둘 중 ‘-은’은 ‘먹은’ ‘웃은’ ‘젖은’처럼 앞에 오는 어간이 자음일 때 쓰고, ‘-ㄴ’은 ‘(잠을) 잔, (총을) 쏜, (홈런을) 친’처럼 어간이 모음일 때 사용한다.

하지만 예외 없는 법칙은 없는 법. ‘이슬람 펀드 잡아라, 몸 달은 금융계’ ‘30년 살은 개’ ‘5㎝나 줄은 허리둘레’ 의 경우를 보자. ‘달은, 살은, 줄은’은 위 법칙에는 들어맞는다. 어간 ‘달-, 살-, 줄-’이 모두 자음으로 끝나고 어미가 ‘은’이니까. 그러나 이렇게 쓰면 맞춤법에 어긋난다. 어간이 ㄹ로 끝나는 경우는 ㄹ이 자음이지만 ‘-은’이 아니라 ‘-ㄴ’을 쓰도록 규정돼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때는 ‘몸 단 금융계’ ‘30년 산 개’ ‘5㎝나 준 허리둘레’라고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4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99
2072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6942
2071 몬뜰래기 벗곡! 바람의종 2010.04.02 11739
2070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152
2069 몰래 입국, 몰래 출국 바람의종 2010.04.19 12272
2068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04
» 몸 달은 바람의종 2012.08.21 7070
2066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894
2065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285
2064 못미처, 못미쳐, 못 미처, 못 미쳐 바람의종 2010.10.18 22078
2063 못쓸 짓 바람의종 2010.03.14 9693
2062 못지않다, 못지 않다 / 마지않다, 마지 않다 바람의종 2009.03.25 16626
2061 못하다 바람의종 2010.03.18 10786
2060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658
2059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37
2058 뫼와 갓 바람의종 2008.01.02 7272
2057 묫자리 / 묏자리 바람의종 2012.08.20 12360
2056 무거리 바람의종 2009.02.21 6601
2055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900
2054 무꾸리 風磬 2006.11.26 8074
2053 무너미·목넘이 바람의종 2008.04.03 6774
2052 무녀리 바람의종 2010.04.18 11113
2051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